420년 전 벌어진 임진왜란을 객관적인 근거를 토대로 다시 되짚었다. '난(亂)'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왜구가 쳐들어와 일으킨 난리'라는 측면에서 살펴본 기존의 임진왜란에 대한 개념을 일본, 한국, 중국(명)의 국제전쟁의 관점에서 살폈다.
목차
들어가면서
제1장 개전전야 1. 200년 평화에 국방을 잊어 2. 망국의 길목에 들어선 대명제국 3. 대륙을 향한 군국 일본의 꿈 4. 전쟁의 먹구름이 몰려오는데
제2장 1차 전쟁: 임진왜란 1. 침공군 16만 나고야에서 발진 2. 조선왕조 사상 가장 길었던 날 3. 침공 20일 만에 떨어진 수도 서울 4. 평양에서 정지된 일본군 진격 5. 전라도 방어전 승리 군수 병력 수군기지로 6. 무적함대 7. 의병전투 8. 반격작전
제3장 전쟁과 평화 1. 명과 일본 지루한 강화회담 2. 이순신 함대증강, 전함 1509척
제4장 2차 전쟁: 정유왜란 1. 일본군 12만 재침공 명군 재출동 2. 원균 휘하 조선 수근 칠천량에서 전멸 3. 일본군 전군 동원 전라도로 진격 4. 13척이 200척을 격멸_ 명량대해전 5. 일본군 총퇴각, 연합군 총반격 6. 조.명 연합군 최후 공격으로 일본군 패주 7. '이순신은 자살했는가' 의문의 전사
연표 찾아보기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2014 / 송복 지음 / 시루
(역사의 블랙박스,)왜성 재발견2016 / 지음: 신동명, 최상원, 김영동 / 산지니
(역사의 블랙박스,)왜성 재발견2016 / 지음: 신동명, 최상원, 김영동 / 산지니
이순신의 전쟁 : 임진왜란 이후 4백여 년, 그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2012 / 신호영 지음 / 돋을새김
이순신의 전쟁 : 임진왜란 이후 4백여 년, 그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2012 / 신호영 지음 / 돋을새김
1592 격전의 길을 걷다 : 7년의 전쟁, 다시 돌아보는 임진왜란사 2023 / 지음: 안광획 / 초록비책공방
임진왜란은 우리가 이긴 전쟁이었다2001 / 양재숙 저 / 가람기획
임진왜란은 조선이 이긴 전쟁이었다 : 임진왜란의 상식을 되짚다2012 / 양재숙 지음 / 가람기획
(한 권으로 읽는) 쇄미록 : 또 하나의 임진왜란 기록, 오희문의 난중일기 2020 / 지음: 오희문 ; 해설: 신병주 / 사회평론아카데미
(한 권으로 읽는) 쇄미록 : 또 하나의 임진왜란 기록, 오희문의 난중일기 2020 / 지음: 오희문 ; 해설: 신병주 / 사회평론아카데미
(청소년을 위한) 쇄미록 : 『난중일기』『징비록』에 이은 임진왜란 3대 기록물 2024 / 지음: 오희문 ; 풀어씀: 서윤희 / 사회평론아카데미
(청소년을 위한) 쇄미록 : [청소년] : 『난중일기』『징비록』에 이은 임진왜란 3대 기록물 2024 / 지음: 오희문 ; 풀어씀: 서윤희 / 사회평론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