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식량 생산량의 절반, 우리가 먹는 양만큼 쓰레기통으로 직행한다. 지구 반대편의 누군가는 하루 한 끼도 못 먹고 굶주림에 시달리는데 말이다. 이 책은 그런 우리 삶을 되돌아보고 ‘왜’, ‘어떻게’에 대한 답을 찾아 나선다.
목차
서문 머리말
1부 소비의 광기와 폐기하는 사회 ■음식은 삶이다 ■음식은 쓰레기가 아니다 ■〈쓰레기 맛을 봐〉를 만들기 ■구부러진 오이와 하트 모양의 감자에 관하여 매일 우리가 버리는 쓰레기―전 세계에서 낭비하는 차원 ■왜 빈의 쓰레기통은 맛있는 음식으로 가득할까 우리는 얼마나 버릴까 과잉의 역사 우리는 어떻게 영양을 섭취하고 있는가, 왜 그러는가 게으름뱅이의 천국에서 볼 수 있는 기아 상태
2부 우리의 소비 태도가 초래하는 전 세계적인 결과 ■ 낭비에 대한 베로니크의 분노 문명사회가 아니라 ‘너무 많은 사회’ 물고기들은 왜 멸종할까 왜 우리의 소비가 기후를 온난하게 할까 ■요리용 바나나와 영국의 토스트 빵 왜 우리는 가난한 사람들의 식사를 빼앗는 것일까 왜 가득 찬 주유차가 접시를 텅 비게 만드는가 우리의 소비가 개발도상국의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3부 과잉사회에서 책임 있는 소비사회로 ■만족하는 박테리아와 빵의 발열량 국가, 경제, 학문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정치적으로 관여해서 낭비를 막아야 한다 보관, 운반, 포장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과잉을 사회복지에 맞게 분배하기 ■식품 재활용에서 일본이 보여주는 효율성 낭비가 아니라 재활용 소비자들을 좀더 잘 계몽하기 개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이탈리아 쓰레기는 왜 더 맛이 있을까 ■미국의 식품 구호 계획적으로 물건을 구입하고 책임감 있게 영양을 섭취하기 지역적으로 접근하기 ■적은 게 많은 것 공동으로 심고 수확하기 정치적인 영향력의 장으로서 소비를 파악하기 솔선하기 ■〈쓰레기 맛을 봐〉―영화에서 운동으로
맺음말: 기다리지 말고 행동하자 감사의 글 주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2007 / 장 지글러 지음 ; 유영미 옮김 / 갈라파고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2007 / 장 지글러 지음 ; 유영미 옮김 / 갈라파고스
음식의 미래: 제로 슈거, 곰팡이로 만든 단백질, 닭 없는 닭고기, 배양육… 입맛과 건강, 지구를 구할 현대의 연금술은 가능할까?2023 / 지음: 라리사 짐버로프 ; 옮김: 제효영 / 갈라파고스
식량낭비 줄이기2016 / 지음: 채희정 ; 이숙종 ; 이철호 / 식안연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2013 / 마이클 캐롤란 지음 ; 김철규 외 옮김 / 따비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2013 / 마이클 캐롤란 지음 ; 김철규 외 옮김 / 따비
(KBS 스페셜)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 종자는 누가 소유하는가2014 / KBS스페셜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제작팀 지음 ; 정현덕 기획 ; 장경호 엮음 / 시대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