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최신의 자료로 꾸며진 교재로, 크게 일반 지질학, 지각변동, 지사학 및 응용지질학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지질학 단원은 지구의 개관을 포함한 15개의 장으로, 지각변동 단원은 지진 등의 5개의 장으로, 지사학 단원은 지사학의 방법 등 7개의 장으로, 응용지질학 단원은 지하자원 등 2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지질 개요가 부록에 포함되어 있다.
목차
제1편 일반지질학
제1장 개설
지질학이라는 학문
제2장 지구 개관
1. 지구의 위치
2. 지구
제3장 지구의 구성 물질
1. 지각의 화학 성분
2. 광물
3. 광물의 물리적 성질
4. 광물의 화학적 성질
5. 암석
제4장 화산과 화산작용
1. 화산
2. 화산분출물
3. 화산의 활동상
4. 화산체의 형태
5. 슈나이더의 화산 분류
6. 화산분출의 형식
7. 후화산작용
8. 화산의 분포
9. 화산의 피해
10. 화산의 뿌리
제5장 화성암
1. 화성암의 산출 상태
2. 화성암의 화학 성분
3. 화성암의 광물 성분
4. 화성암의 구조와 조직
5. 화성암의 분류
6. 화성암의 IUGS 분류
7. 화성암 각설
8. 마그마
제6장 지표의 변화
1. 인력과 열
2. 암석의 풍화
3. 풍화와 기후 및 지형
4. 토양
제7장 중력의 직접적인 작용
1. 사태
2. 급격한 사태
3. 완만한 사태
4. 사태와 침식
5. 사태의 피해
제8장 유수의 작용
1. 하천과 유수
2. 유수의 운반작용
3. 유속과 짐의 관계
4. 유수의 침식 작용
5. 유수의 퇴적작용
6. 유수와 지형
제9장 해양
1. 해수와 그 운동
2. 물결의 작용
3. 해저지형
4. 대양저퇴적물
제10장 지하수
1. 지하수의 성인과 그 분포
2. 지하수의 운동
3. 우물과 샘
4. 지하수의 지질작용
제11장 호소
1. 호소의 종류
2. 호수의 성인
3. 호소의 지질작용
제12장 얼음의 작용
1. 빙하의 성인
2. 빙하의 운동
3. 빙하의 지질작용
4. 빙하시대
제13장 바람의 작용
1. 바람의 작용
2. 바람과 입자와의 관계
3. 풍식작용
4. 풍성층
제14장 퇴적암
1. 퇴적암의 생성과정
2. 퇴적물의 퇴적 장소와 퇴적층의 종류
3. 퇴적암의 특징
4. 퇴적암의 종류
제15장 변성암
1. 환경과 암석의 변성
2. 변성암의 구조
3. 변성암의 종류
4. 변성작용
5. 변성상
6. 암석의 윤회
제2편 지각변동
제16장 개설
제17장 지진
1. 지진의 원인
2. 지진파
3. 지진의 분포와 피해
제18장 변동의 기록
1. 지각변동의 산 증거
2. 지각변동의 증거
3. 지질구조
4. 습곡
5. 단층
6. 단층의 종류
7. 부정합
8. 절리
9. 선구조
제19장 지구구조론
1. 대륙지각
2. 대양지각
3. 상부맨틀
4. 대륙이동설
5. 고지자기
6. 맨틀대류
7. 판구조론
제20장 퇴적분지
1. 퇴적분지의 종류
2. 퇴적분지와 판구조론
3. 퇴적분지의 지층
제3편 지사학
제21장 개설
제22장 지사학의 방법
1. 시대 구분
2. 지사학의 3대 법칙 및 부정합과 관입의 개념
3. 화석에 관한 지식
4. 화석의 보존
5. 화석에 대한 생각의 변천
6. 화석의 가치
7. 지층의 대비와 신고 판단법
제23장 지질시대의 구분
1. 지질시대 구분의 기준
2. 시대 및 지층구분의 단위
3. 시간층서 단위
4. 지구의 연령
5. 방사성 원소에 의한 방법
6. 오랜 암석의 연령
7. 가까운 지질시대의 연령
8. 지구의 연령 및 지질시대의 연수
제24장 선캠브리아누대
1. 지구의 기원
2. 선캠브리아누대의 세분
3. 시생대
4. 원생대
5. 원생대층의 상한
제25장 고생대
1. 고생대층의 하한
2. 캠브리아기
3. 오오도비스기
4. 사일루리아기
5. 데본기
6. 석탄기
7. 페름기
제26장 중생대
1. 트라이아스기
2. 쥬라기
3. 백악기
제27장 신생대
1. 제3기
2. 제4기
3. 빙기
4. 제3기의 지각변동
5. 제3기의 생물과 진화
6. 인류의 진화
제4편 응용지질학
제28장 개설
제29장 지하자원
1. 서론
2. 화성광상
3. 퇴적광상
4. 해저에서 생성된 광상
5. 에너지 자원
6. 핵 에너지 자원
7. 흔한 금속자원
8. 비료용 광물자원
9. 화학용 광물자원
10. 금강석
11. 희토류 원소광물
12. 우리 나라의 지하자원
13. 석재
부록 : 한국 지질 개요
1. 지질 개관
2. 지층 각론
1. 경기육괴의 선캠브리아 변성암
2. 영남육괴의 선캠브리아 변성암
3. 북한의 선캠브리아 변성암
4. 옥천누층군(沃川累層群)
5. 캠브로ㆍ오오도비스누계(조선눈총군)
6. 사일류리아계(系)
7. 천성리통(天聖里統)은 금천조(黔川組)
8. 석탄ㆍ폐름누계(평안누층군)
9. 대동층근(大同層群)
10. 경상누층군(慶尙累層群)
11. 제3계(第3系)
12. 제4계(第4系)
사항색인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