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의 북학파 지식인이었던 홍대용의 <을병연행록>을 국문학자 정훈식이 처음으로 완역했다. 홍대용의 나이 35세였던 1765년 겨울 동지사행을 따라 북경에 가서 이듬해 봄에 돌아와 남긴 여행기록으로, 국문으로 전해오는 기행문 중 가장 긴 작품이다. 이 책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번화한 도시였던 북경을 매우 상세히 기록한 작품으로 꼽힌다.
목차
옮긴이 서문: 『을병연행록』, 또 다른 조선의 진로를 모색하다
간정동에서 항주 선비를 만나다 2월 초1일 관에 머물다 2월 초2일 천주당에 가다 2월 초3일 간정동에 가다 2월 초4일 관에 머물다 2월 초5일 관에 머물다 2월 초6일 태화전을 보고 유리창에 가다 2월 초7일 관에 머물다 2월 초8일 간정동에 가다 2월 초9일 관에 머물다 2월 초10일 관에 머물다
서산을 유람하다 2월 11일 서산에 가다 2월 12일 간정동에 가다 2월 13일 관에 머물다 2월 14일 관에 머물다 2월 15일 관에 머물다 2월 16일 관에 머물다 2월 17일 간정동에 가다
천애의 지기를 맺다 2월 18일 관에 머물다 2월 19일 관에 머물다 2월 20일 관에 머물다 2월 21일 관에 머물다 2월 22일 관에 머물다 2월 23일 간정동에 가다 2월 24일 관에 머물다 2월 25일 관에 머물다 2월 26일 간정동에 가다 2월 27일 관에 머물다 2월 28일 관에 머물다 2월 29일 관에 머물다
북경을 출발하다 3월 초1일 북경에서 출발하여 통주에서 자다 3월 초2일 연교포에서 아침을 먹고 삼하에서 자다 3월 초3일 방균점에서 중화하고 반산을 보고 계주에서 자다 3월 초4일 송가성을 보고 봉산점에서 점심을 먹고 옥전현에서 자다 3월 초5일 옥전현서 출발하여 초7일 영평부에 이르다
서울에 돌아오다 3월 초8일 영평부에서 출발하여 초9일 팔리포에 이르다 3월 초10일 팔리포에서 출발하여 14일 소릉하에 이르다 3월 15일 소릉하에서 출발하여 17일 소흑산에 이르다 3월 18일 소흑산에서 출발하여 22일 심양에 이르다 3월 23일 심양에서 출발하여 29일 송참에 이르다 3월 30일 삼차하에서 점심을 먹고 책문에서 자다 4월 초1일로부터 초7일에 이르러 책문에 머물다 4월 초8일 책문을 나와 12일 의주에 이르고 27일 서울에 이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