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며
제1장 미국 경제의 현재
미국의 경제위기, 정말 끝났을까?
미국은 왜 환경위기에 주목하는가?
세계 경제가 주목하는 경제 테마는?
미국이 금융 의존 경제에서 벗어날 확률
금융규제법 향후 방향은?
오바마 대통령과 재정 재건의 딜레마
달러 약세 언제까지 지켜볼 것인가?
과연 미국 경제의 앞날은?
경기회복에 대한 왜곡과 격차
미국이 디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은?
제2장 미국 경제의 미래
왜 FRB는 ECB의 전철을 밟는가?
‘케인스 정책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대책
FRB는 왜 주장을 철회했나
금융 완화 정책의 실체
미국의 붕괴를 막기 위해 놓치지 말아야 할 것
미국과 일본의 공통점
미국 주가의 전망은?
미국의 장기 침체, 그 끝은?
미국인의 노후는 어떻게 될 것인가?
꿈이 없는 세대의 탄생
정보화 사회가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
더 이상 큰 정부는 없는가
금융 블랙홀을 막을 수 있을까?
미국은 세계의 경찰이기를 포기한다
경제력이 약해져도 영향력은 커진다?
제3장 유럽 경제의 미래
환경 정책 속에 숨은 유럽의 검은 의도
IPCC 데이터에 의혹이 발각되다
문제를 바꿔치기하려는 유럽의 의도
그리스 위기의 진상
유럽이 환경 경제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
유럽의 발목을 붙잡는 것은?
ECB의 안일함이 낳은 디플레이션 위기
디플레이션에 들어선 스페인
독일과 프랑스는 안전한가?
EU 경기 악화는 세계로 파급된다
긴축 재정에 대한 국민의 반응
위기를 맞은 유럽의 금융기관
EU는 재기할 수 있을까?
유로가 소멸하는 날이 올까?
경제 현상만 보면 본질을 놓친다
EU의 미래는?
제4장 중국 경제의 미래
중국 경제 발전의 이해
중국에서 부동산 거품이 발생할 가능성은?
국가 통제 경제의 최대 이점
중국의 급성장 배경
중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중국은 성장 모델의 최종 단계에 들어섰다
파업을 통해 소득 배증을 노리다
중국이 끌어안은 네 가지 리스크
10년 후 중국
저출산 고령화로 드러나는 중국의 약점
인민은행의 움직임을 읽는 방법
위안화 절상, 어디까지인가?
밀려드는 중국의 민주화 흐름
제5장 세계 경제의 미래
세계 경제가 안고 있는 두 가지 본질
신흥국의 불만이 폭발하다!
세계 경제는 불균형 위에 성립되었다
불균형을 해소하려 참극이 일어난다
이후로도 몇 년 단위로 위기가 닥친다
서브프라임 위기의 진상
한 나라의 파산이 세계 경제를 뒤흔든다
세계 경제의 연쇄 파탄을 멈출 수 있을까?
미국은 달러 약세의 보복을 당한다
미국, 유럽의 회복 기조는 길지 않다
미국 주가 상승은 경기 회복이 아니다
국채 거품 붕괴의 결말은?
2012년 세계 경제 동향
자본주의에 미래는 있는가
제6장 일본 경제의 미래
일본의 현실
일본 기업이 삼성전자에 지는 이유
일본인에게 맞는 교육법은?
인재 육성은 토요타에서 배워라
노력은 반드시 보상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