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글: 늪에서 빠져나오려면?
서문: “난 뭔가 잘못됐어”
1. “나는 세상에 존재할 가치가 없다”
“그냥 쉰다”는 것의 의미
나는 계속 OO을 해야한다
우리는 왜 자기 혐오에 빠지는가?
불안을 오히려 강화하는 우리의 습관적 전략들
타인을 적으로 만들기
왜 우리는 트랜스에 빠지는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성찰연습- 무가치감의 트랜스 인식하기
2. 근본적 수용: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수용의 두 날개 펼치기
트랜스의 괴로움 마주하기
모든 것이 산산이 무너질 때 근본적 수용의 문이 열린다
근본적 수용에 대한 흔한 오해들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는 것은?
명상연습- 위빠사나(마음챙김) 수행
3. 신성한 멈춤: 지혜의 나무 아래에서의 휴식
도망가면 트랜스는 더 깊어진다
도망가기를 머추면 지금 이 순간의 삶에 깨어있게 된다
내면의 괴물과 만났을 때 멈추는 기술
관계의 해법은 멈춤에 있다
귀중한 자유의 순간들
성찰연습- 신성한 멈춤
4. 조건 없는 친절: 근본적 수용의 정신
“마라여, 나는 너를 본다”: 질문하기와 이름 붙이기
마라에게 차 대접하기: “예스”라고 말하는 훈련
우리 삶에“예스”라고 말하기
명상연습- “예스”의 힘
어려움을 직면하고 그 실체에 이름을 붙이기
삶을 미소로 감싸 안기
5. 몸과 가까워지기: 근본적 수요의 기반
몸과 함께 사는 법을 배우기
고통은 불가피하지만 괴로움은 선택이다
내 것이 될 수 없는 학대받은 몸
몸으로 돌아오는 치유 여행
삶이 우리를 통해 살게 하기
명상연습- 모의 감각에 깨어 있기
고통의 근본적 수용
6.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욕구란 무엇인가?
거짓 욕구의 출현
대체물 추구에 빠지다
중독된 욕구가 우리 삶을 장악할 때
욕구하는 자기를 거부하는 것이 성장의 증표일까?
“내 잘못이 아니다”
욕구하는 자기로부터 깨어나기
사랑: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
성찰연습- 욕구에 끌려간다고 느낄 때‘멈춤’
가장 깊은 갈망 발견하기
7. 두려움과 함께 사는 법
두려움이란 무엇인가?
두려움의 트랜스
누군가 나와 함께한다는 안도감
귀의: 안전감과 소속감의 내적 자원 발견하기
명상과 약물치료
주의의 앵글 넓히기: 두려움이 쉴 있는 공간 만들기
두려움 속으로 기대기
두려움이 주는 선물
깨어있고 열린 의식: 우리의 궁극적 귀의처
명상연습- 감싸 안는 열린 깨어있음으로 두려움 만나기
8. 나를 자비로 감싸 안기: “내가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기를”
나를 자비로 감싸기
자비에 몸을 맡기기
마음챙김 기도: “이 고통이 자비를 깨우기를”
우리는 안는 자이며 안기는 자이다
명상연습- 괴로움을 안는 자되기
사랑의 존재 불러내기
9. 세상을 자비로 감싸 안기: “나의 삶이 모든 존재에게 이롭기를”
우리는 그저 같은 고통을 공유한 사람이다
내게 의미 없는 타인, 타인에게 의미 없는 나
상대방의 고통을 볼 때 우리의 가슴이 열린다
매 순간 모든 이가 신비로운 생명의 존재
가슴이 닫혔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서로의 눈으로 마주보기
모든 생명의 운명은 바로 내 운명이다
명상연습- 통렌 수행: 자비의 마음 깨우기
10. 우리 안의 선함 깨닫기: 용서와 사랑의 마음으로 가는 관문
자신을 용서하기: 마음을 구속하는 비난 내려놓기
자기 내면의 선함을 보는 방법 배우기
용서받는다는 느낌이 주는 축복
타인을 용서하기: 그 누구도 마음 밖으로 밀어내지 않기
타인 안의 선함을 보기
자비의 마음 깨우기
사랑은 우리의 본성이다
사랑 안에 살기
명상 연습- 영서하는 마음 기르기
자비 일깨우기
11. 함께 깨어나기: 깨어있는 우정은 신성한 삶의 전부다
깨어있는 우정은 신성한 삶의 전부다
나의 취약점 드러내기: 진실한 관계 맺기의 시작
“있는 그대로의 너를 사랑해” 우정이란 친구 내면의 선함을 비춰주는 거울
고통은 개인적인 것이 아니다
성찰연습- 깨어서 소통하기
12. 나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
‘나’너머의 의식과 하나 되기
우리는 공(公)이고 사랑이다
고향으로 가는 길: 순수한 의식 속으로
명상연습-나는 누구인가?
인용문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