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ㆍ책머리에
-제1부-
Ⅰ. 고전소설의 발생과 전개
1. 고전소설의 발생
2. 고전소설의 범위
3. 고전소설의 흐름
Ⅱ. 고전소설의 작자와 독자, 유통 과정
1. 작자
2. 독자
3. 판본과 유통 과정
Ⅲ. 고전소설의 문체와 표현
1. 문체와 표현의 요소들
2. 한문소설의 문체와 표현
3. 국문소설의 문체와 표현
-제2부-
Ⅰ. 한문소설
1. 초현실 세계 속의 현실담: 전기소설(傳奇小說)
1) 개념과 성격
2) 지괴로부터의 소설적 성취: <최치원>, <조신전>
3) 애정전기소설의 정점: <만복사저포기>, <하생기우전>
4) 전기소설의 현실성 강화: <주생전>, <최척전>
2. 꿈을 통한 현실 비판: 몽유록(夢遊錄)
1) 개념과 성격
2) 비유체 형성의 초석, 좌정대목: <금생이문록>
3) 몽유록의 태동: <대관재기몽>
4) 몽유록의 전형 성취: <원생몽유록>
5) 몽유록의 현실 비판: 두 편의 <달천몽유록(달川夢遊錄)>
6) 몽유록의 후대적 향방
3. 사람과 사물의 일대기: 전계소설(傳系小說)
1) 전(傳)과 전계소설
2) 공안·송사 인물 이야기: <유연전>,<열녀홍씨전>,<박효랑전>
3) 전란 체험 인물 이야기: <강로전>,<김영철전>
4) 시정 인물 이야기: <다모전>,<양반전>,<허생전>,<심생전>,<각저소년전>
5) 이인·신선 이야기: <남궁선생전>,<김신선전>,<안상서전>,<장생전>
6) 의인·협객 이야기: <검객모소전>,<오대검협전>
7) 효자·열녀 이야기: <청양의부전>,<효자전>,<청풍의부전>,<박열부전>, <향랑전>, <협 효부전>
8) 심성(心性)의 의인화: <천군전>,<천군연의>,<천군본기>,<수성지>,<남령전>
4. 서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본 삶의 현실: 야담계소설
1) 개념과 성격
2) 치부(致富)와 관련된 이야기
3) 추노(推奴)와 관련된 이야기
4) 군도(群盜)와 관련된 이야기
5. 한문으로 된 긴 이야기: 한문장편소설
1) 출현 배경과 유형
2) 가문 이야기: <옥린몽>, <옥수기>
3) 꿈속 이상세계 이야기: <옥련몽>, <옥루몽>, <옥선몽>
4) 영웅 이야기: <육미당기>, <남홍량전>, <운향전>
5) 비현실세계 이야기: <삼한습유>
6) 봉건사회 가정 이야기: <난학몽>, <편옥기우기>
7) 남녀 애정 이야기: <절화기담>, <포의교집>
Ⅱ. 국문소설
1. 영웅적 삶과 국가 담론: 영웅소설
1) 개념과 특징
2) <홍길동전>의 갈등과 현실 인식
3) <구운몽>의 세속적 꿈과 초월적 이상
4) <유충렬전>과 영웅소설의 전형적 모습
5) <박씨전>과 역사군담소설의 여성 영웅상
6) <방한림전>과 여성영웅소설의 여성의식
2. 애정의 장애와 그 극복: 애정소설
1) 애정갈등과 애정소설
2) <숙영낭자전>과 절대적 애정의 추구
3) <채봉감별곡>과 세태의 반영
3. 가족갈등을 통해 본 가정의 문제: 가정소설
1) 가족갈등의 소설적 형상화
2) <사씨남정기>와 처첩갈등형 소설
3) <장화홍련전>과 계모갈등형 소설
4. 가문의 유지와 번영: 가문소설
1) 가문의식과 가문소설
2) <유효공선행록>과 가문의 위상 정립
3) <유씨삼대록>과 가문의 화합·번영
5. 역사와 기억: 실기소설
6. 동물의 세계로 표현된 인간의 모습: 우화소설
1) 우화와 우화소설
2) 쟁년형 우화소설과 <두껍전>
3) 송사형 우화소설과 <서동지전>
4) 하층민의 비극적 삶과 <장끼전>
7. 일상적 삶의 다채로운 모습: 판소리계 소설
1)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2) <춘향전>의 현실 인식과 인물 형상
3) <흥부전>과 향촌의 사회적 갈등
4) <심청전>, 삶의 원초적 고통과 제의적 보상
5) <토끼전>과 판소리계 우화소설의 면모
8. 삶의 애환과 인정물태: 세태소설
1) 세태 유형과 주요 작품
2) <이춘풍전>과 시정공간의 남녀 세태
3) <김학공전>과 근대전환기의 신분 세태
-제3부-
Ⅰ. 동아시아 속의 한국 고전소설
1. 중국소설의 수용과 반응
1) 전기소설
2) <삼국지연의>, <수호전>, <서유기>
3) 인정소설, 공안소설
2. 비교를 통해서 본 한국 고전소설의 특성
1) 「금오신화」: 「전등신화」, 「전기만록」, 「가비자」와의 비교
2) <구운몽>: <육포단>, <호색일대남>과의 비교
3) <춘향전>: <취교전>과의 비교
Ⅱ. 고전소설의 교육과 활용
1. 고전소설의 정체성
2. 고전소설의 외연 확대
3. 고전소설과 문화콘텐츠
ㆍ찾아보기
작품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