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 시대 베스트셀러로 본 '그들의 임진왜란'. 일본인이 기록한 임진왜란의 기억을 다룬 책이다. 기존의 임진왜란 관련서가 우리 역사가들의 해석과 평가에 기초했던 것에서 벗어나 일본 근세의 야사/외전/군담소설 등을 통해 일본인들의 의식 및 무의식에 드러난 전쟁의 모습을 그려 보임으로써 임진왜란에 대한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목차
머리말
01 전쟁 전야 - 나는 중국의 황제가 되겠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대륙 침략을 선언하다 고려 왕은 일본의 개다 원·고려 침공을 되갚는 정당한 전쟁 나는 중국의 황제가 되겠다 조선 정벌이 아니라 명나라 정벌이다 광인인가, 마키아벨리적 군주인가 나는 고려인이다 나고야성 축성과 전함 건조 쓰시마번의 마지막 교섭 노력과 류큐
02 전쟁 발발에서 한양 함락까지 - 고운 각시 더불어 오라 삼한을 몰살하고 중화를 뒤흔들었다 고운 각시 더불어 오라 한강을 지키는 허수아비
03 가토 기요마사의 함경도 침략 - 도깨비 장군 왕자가 생포되다 ‘오랑캐 전투’라는 판타지 이 주군께 목숨을 바치는 조금도 아깝지 않습니다
04 평양성 전투에서 진주성 전투까지 - 중국과 일본의 두 영웅 조선 영웅 유극량 섬라국이 조선 구원을 자청하다 천하를 가른 전투 행주산성의 닌자 내가 작은 나라에 태어나 군대가 부족하구나
05 화의 결렬 - 일본은 신국이다 나는 태양의 아들이다 히데요시 암살 미수 사건 히데요시공에게 여우가 씌었군요 호랑이 사냥 지진 가토 덴노는 국왕인가 아닌가 심유경은 히데요시를 독살했나?
06 정유재란 - 이순신의 지혜에 왜병이 물러나다 도깨비 장군은 인의가 있으니 도망칠 필요 없겠다 사명당 유정의 밀서와 김응서 스파이 설 조선인도 얕볼 수 없다 조선의 학정에 시달리느니 도깨비 장군의 백성 노릇을 하리라 시마즈의 이름이 중화에 알려졌도다 나라를 위해 죽은 자들이다 작은 것이 큰 것을 치는 것은 재앙이다 조선 전쟁은 히데요시를 죽인 원수이다 혹시 자립하려는 의사가 있는 것 아닙니까?
1차 문헌 및 참고 논저
연표
서가브라우징
간양록2005 / 강항 지음 ; 이을호 옮김 / 서해문집
(바로 보는 한 토막) 임진전쟁2002 / 권오상 지음 / 삼진기획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2008 / 기타지마 만지 지음 ; 김유성 ; 이민웅 옮김 / 경인문화사
남도 임진의병의 기억을 걷다: 의롭고 당당한 삶으로 겨레의 별이 된 사람들: [청소년]2022 / 지음: 김남철 / 살림터
환생(還生)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2016 / 지음: 김동철 / 한국학술정보
임진왜란과 호남 사람들2011 / 김세곤 글·사진 / 온새미로
임진왜란과 호남 사람들2011 / 김세곤 글·사진 / 온새미로
그들이 본 임진왜란 : 근세 일본의 베스트셀러와 전쟁의 기억2012 / 김시덕 지음 / 학고재
일본의 대외 전쟁 : 16~19세기 일본 문헌에 나타난 전쟁 정당화 논리2016 / 지음: 김시덕 / 열린책들
그림이 된 임진왜란 : 근세 일본 고문헌의 삽화로 보는 7년 전쟁2014 / 지은이: 김시덕 / 학고재
그림이 된 임진왜란 : 근세 일본 고문헌의 삽화로 보는 7년 전쟁2014 / 지은이: 김시덕 / 학고재
임진왜란 비겁한 승리2013 / 김연수 지음 / 앨피
임진왜란 비겁한 승리2013 / 김연수 지음 / 앨피
임진왜란 : 2년 전쟁 12년 논쟁 2021 / 지음: 김영진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임진왜란 : 2년 전쟁 12년 논쟁 2021 / 지음: 김영진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같이 빌린 책
종의 기원 = The origin of species : 정유정 장편소설2016 / 지은이: 정유정 / 은행나무
(만화)그리스 로마 신화 = (The) myth of Greece and Rome. 1 - 82011 / 그림: 박희진 ; 스토리: 김영훈 / 학산문화사
(유성룡이 들려주는)징비록 이야기2010 / 지음: 유성천 / 자음과모음
저녁이 깊다 : 이혜영 장편소설2014 / 이혜영 지음 ; , / 문학과지성사
(만화)유성룡 징비록2008 / 글: 박교영 ; 그림: 이동철 / 주니어김영사
백범일지 : 백범 김구 자서전2002 / [김구 지음] ; 도진순 주해 / 돌베개
후설2013 / 한국고전번역원 승정원일기번역팀 엮음 / 한국고전번역원
왜 갑신정변은 삼일천하로 끝났을까? : 김옥균 VS 민영익2012 / 이정범 글 ; 이일선 그림 / 자음과모음
(십대를 위한)맛있는 수학사. 2, 고대 편 : 수의 탄생부터 아르키메데스의 정리까지2012 / 김리나 지음 / 휴머니스트
풀어쓴 징비록 류성룡의 재구성2009 / 박준호 지음 / 동아시아
(가까이 두고 가볍게 읽는)가방 쏙 한국사 : 작정하고 재밌게 쓴 교양 한국사2017 / 지음: 구완회 / 메가북스
임진왜란 비겁한 승리2013 / 김연수 지음 / 앨피
이탈리아에서 역사와 이야기는 같은 말이다2005 / 후지사와 미치오 지음 ; 임희선 옮김 / 일빛
빛의 도시2000 / 야콥 단코나 지음 ; 데이비드 설번 영문편역 ; 오성환 ; 이민아 번역 / 까치
내 지하실의 애완동물 : 김나정 소설집2009 / 김나정 지음 / 문학과지성사
같은 주제의 책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