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美)의 나라 조선 : 야나기, 아사카와 형제, 헨더슨의 도자 이야기
발행연도 - 2011 / 김정기 지음 / 한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1136
-
ISBN
9788946053175
-
형태
viii, 415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예, 장식미술
>
도자공예, 유리공예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미술
>
공예/조각/판화
책소개
제 강점기의 수집가이자 민예운동가인 야나기 무네요시를 비롯한 그의 동호인들이 발견한 조선미의 본질을 이야기하고 있다. 나아가 그 미가 미학 커뮤니케이션의 장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예찬되거나 비하되었는지 탐색하고 있다.
목차
감사를 드리며
프롤로그
제1부 일본 열도에서 본 한반도의 두 얼굴
제1장 미를 둘러싼 한일 간의 전쟁과 평화
1. 미추(美醜)의 시각
2. 신화와 현실의 미추 전쟁
3. 조선의 두 얼굴
제2장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조선도자, 민예
1. 야나기와 조선도자
2. 야나기의 미의식과 민예 개념
3. 사회소통 이론으로서 민예의 가능성
제3장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의 화신(化身): 채호회(彩壺會) 파
1. 채호외 파의 한국공예관
2. 이데카와 나오키(出山直樹)의 경우
3. 식민정책에 숨겨진 또 다른 가면
4. '하품(下品)'의 조선도자
제2부 야나기와 아사카와(淺川) 형제의 미의식과 컬렉션
제4장 야나기, 아사카와, 조선민족미술관
1. 조선민족미술관은 왜 세워졌나?
2. 야나기와 아사카와 형제
제5장 야나기-아사카와 컬렉션
1. 컬렉션의 수집, 기물의 성격과 범주
2. 도편 컬렉션
3. 야나기의 수집 이야기
4. 컬렉션의 산일(散逸)과 복원(復元)
제3부 미의 나라 조선
제6장 일본 초기 차인(茶人)들과 조선 찻그릇의 미학
1. 센노 리큐(千利休)와 와비차(侘茶)
2. 와비차의 주역 고려차완
3. 이름의 미학
제7장 동양예술에 심취한 초기 미국인과 그 후예들
1. 동양예술에 눈뜬 선각자들
2. 랭던 워너(Langdon Warner), 야나기, 그리고 조선미술
3. 초기 오리엔탈리스트들의 궤적
제8장 야나기와 그 동호인들이 발견한 조선미의 세계
1. 야나기의 조선미술관: 미의 철학
2. 조선미의 재발견
3. 야나기 동호인: 그 인물들이 본 조선미
4. 조선미의 정수(精髓)
제4부 두 외국인 수집가의 경우
제9장 그레고리 헨더슨(Gregory Henderson)은 누구인가?
1. 헨더슨과 한국의 인연
2. 수집가로서 헨더슨
3. 이른바 '도자기 사건'
4. 우리 머릿속의 정신상
제10장 헨더슨 컬렉션과 미의식
1. 아사카와 형제와 헨더슨
2. 헨더슨의 미의식
3. 또 하나의 헨더슨 컬렉션
4. 헨더슨 도자 컬렉션
제11장 야나기 무네요시의 경우
1. 막말과 황당한 비방
2. 고미술 붐의 진실
3. 미술사학의 정통성
4. 조선의 젠더(gender)화
5. 오리엔탈리즘의 시각
6. 오리엔탈리즘 비판의 비판
7. 문화적 패권주의(헤게모니) 비판론
제5부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제12장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의 정체와 야나기의 도전
1.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의 정체: 한민족의 자치능력 부재
2. 한국문화는 중국의 모방인가?
3. 모모야마 예술의 정체
4 오리베야키(織部燒)와 아키쿠사데(秋草手)
제13장 복합미의 평화상
1. 소극적 저항주의
2. 여러 꽃이 피는 들판의 아름다움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_인명
찾아보기_주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1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