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하게 달력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책이 아니라 문화사적인 측면에서 달력에 접근하는 책이다. "율리우스가 달력 개혁에 성공한 이유는 무엇일까?" "요일은 어째서 행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을까?"와 같은 질문에서부터 시간을 표시해주는 달력이 얼마나 강력한 권력의 수단이었는지에 대한 문제까지 달력을 둘러싼 숨은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목차
01 달력, 달력 그리고 달력 달력은 곧 역사가 아니다 달력은 작은 변화의 역사가 아니다 달력은 문화의 역사가 아니다 달력 문화와 문화 달력 달력과 사회의 상관관계 달력의 문화사
02 로마의 달력, 태양 또는 달 멋지게 빛나는 달 태음력에서 태양력으로 시간 기호와 시간 제작자 달력이 문자화되다
03 시간의 전문가들, 농부와 선원 그리고 수도사 자연과 달력의 시간 천문학과 항해 시에스타를 정오 이후로 정한 이유
04 시간을 법으로 규정하다 플라비우스의 배신 달력의 새로운 규정 은행 휴무일 아니면 법정 휴일 법과 시간 경제학
05 인간과 신의 시간 신들이 소유한 시간 콘스탄티누스가 제정한 일요일에 관한 법 축제의 기쁨을 노래하다 축제일의 제정에 관하여 달력에는 나와 있지 않은 축제들
06 변화 속의 축제 지역에서 만들어진 축제력 초기 기독교의 축제력 도시와 농촌의 축제 결혼식과 축제 참가자들 축제를 지속시키는 요인들
07 달력을 둘러싼 역사 벽걸이 달력 속의 시詩 달력이 지닌 역사 기록의 성격 기억은 장소와 연결된다 읽을거리로서의 달력 달력 속으로 그림이 들어오다 달 이름으로 시를 짓다
08 달력으로 역사를 쓰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인 오비드는 어떻게 파스티를 사용했을까? 달력에 주석을 다는 작업은 언제 하는가? 달력이라는 장르의 가능성과 한계 오비드의 시적인 기획 달력은 어떻게 읽는가 달력 속의 역사적인 것과 달력을 둘러싼 역사적인 것 비텐베르크의 파울 에버 달력의 여러 가지 형태 달력의 역사적 흐름
09 달력에 숨어 있는 정치 달력에 대한 정치적인 개입 달력 이름의 변화 대리석 달력들은 왜 일찍 사라졌을까? 축제 기간을 연장하는 문제에 대하여 근대 정치와 축제의 정치성 달력의 역사는 권력의 역사다
10 머릿속의 달력 요일을 알려주는 소리들 연, 월, 주, 일; 시간 의식의 구조 일요일에 관한 짧은 이야기 일주일을 며칠로 정할까
11 달력과 시간 속에 담긴 의미 행성과 별자리 달력의 시간 조합술 기원후 2000년 새천년의 시작
12 달력이 정치를 바꾸다 카이사르의 개력; 끝이 없는 해 두 개의 유럽 달력; 그레고리우스 개력 프랑스의 개력이 실패한 이유 일본에서의 그레고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