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소비하는 텍스트에서 생산하는 텍스트로
1강 언어와 욕망
시 쓰기: 무의식을 찾아가는 모험
언어, 구조가 의미를 생산한다
외롭다고 말해도 외롭다는 것에 대하여
2강 자아 해방의 방향
소통이 지연될수록 우리는 더 말하고 싶어진다
욕구는 충족돼도 욕망은 남는다
욕망이여 입을 열어라
환상을 가로질러 언어를 극복하는 길
3강 고정된 주체는 없다
나는 결코 나의 총체를 본 적이 없다
그것이 있었던 곳으로: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4강 거울과 나
거울에 매혹되는 이유
나를 만드는 거울이 나를 공격한다
너를 보면서 나를 상상한다
5강 거울 속으로 들어가자
거울 삼키기
텅 빈 거울, 내가 없는 거울
내가 없다면 아무 것도 없다
6강 베게트를 생각하자
두 사람은 무엇을, 누구를 기다리는가?
모르면서 아는 것, 있으면서 없는 것
네가 나의 거울이다
7강 남근의 정신분석
거울 속에서 나를 응시하는 것이 있다
모든 권력을 가진 최초의 아버지
상상적 남근에서 상징적 남근으로
성적 관계는 없다: 분열된 존재들
거울 앞에서 방심하지 마라
장미는 이유 없이 핀다
8강 대상 소문자 타자
자아가 가짜면 자아 방어도 가짜다
상실을 애도하는 두 가지 방식: 슬픔과 우울증
담론, 누가 지배하는가
최초의 기표가 지배기표가 되다
아무나 사랑하지 않는다: 사랑의 조건
실패 놀이, 부재를 채우기 위한 반복
9강 환상과 히스테리
환상의 유형
노처녀들은 왜 히스테리를 부리는가
타자의 욕망을 이용하다
푸줏간 부인의 꿈에서 본 욕망의 조건
상어알과 연어, 동일시를 욕망하다
10강 환상 가로지르기
응시와 시선 사이
환자의 욕망은 분석가에게로 번진다
증상을 즐겨라
11강 생톰의 시 쓰기
환상에서 깨어나라
생톰의 시 쓰기
타인의 쾌락의 도구가 되다: 도착증과 선禪
억압된 무의식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강박증
안티고네의 갈등
12강 경계의 해체
라캉의 정신분석 단계
내가 생각하는 곳에 나는 없다
상징계 부재냐 상징계 결핍이냐
이성과 광기
경계를 해체하다: 하이데거와 선禪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