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학계와 일반 대중 누구나 접할 수 있도록 근대계몽기 역사 교과서를 해제, 번역하고 원문을 영인한 것이다. 또한 최근 들어 높아지고 있는 근대에 대한 학계의 높은 관심과 학제간적 연구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역사적 가치가 높은 근대 교과서를 해제하고 번역한 이 책은 학계와 일반의 큰 관심과 반향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발간사
서문
근대계몽기 교과서 해제
근대 역사 교과서 해제
동양사 교과서 해제
일러두기
수편(首編) 서론(緖論)
제1장 동양사(東洋史)의 의의
제2장 동양사의 범위
제3장 시기의 구분
제1편 상고사-태고로부터 단기 2085년(BC 249)까지-
제1장 지나(支那)의 상고(上古)
제2장 당(唐)과 우(虞)
제3장 하(夏)와 은(殷)
제4장 주(周)의 초기
제5장 주의 제도와 문물
제6장 춘추(春秋)시대
제7장 전국(戰國)시대
제8장 주말(周末)의 학술
제9장 상고의 인도(印度) 및 불교의 흥기
제2편 중고사-단기 2086년(BC 248)으로부터 3539년(1206)까지-
제1장 진(秦)의 통일 및 멸망
제2장 초한(楚漢) 전쟁
제3장 한(漢)의 초기
제4장 무제(武帝)의 업적 및 왕망(王莽)의 찬탈
제5장 후한[東漢]의 정치 및 새외(塞外) 경략
제6장 불교의 동래 및 한과 로마[大秦]의 교류
제7장 후한의 말로
제8장 삼국(三國)과 서진(西晉)
제9장 동진(東晋)과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제10장 남북조(南北朝)
제11장 수(隋)의 흥망
제12장 당(唐)의 초기
제13장 당대(唐代)의 조선(朝鮮)
제14장 당대의 일본(日本)
제15장 당의 외정 및 새외(塞外) 여러 나라
제16장 당의 중기
제17장 당의 말기
제18장 당의 제도 및 풍속
제19장 한당(漢唐)의 유학(儒學)과 문예
제20장 당대의 종교
제21장 오대(五代)의 교체
제22장 발해(渤海)와 요(遼) 및 서하(西夏)
제23장 송(宋)의 초기
제24장 송의 중기
제25장 요·금(遼·金)의 흥망
제26장 송과 금의 교섭
제27장 송의 유학과 문예
제28장 송대의 일본
제29장 대식국(大食國)과 인도
제3편 근고사(近古史)-단기 3539년부터 3977년까지-
제1장 몽골[蒙古]의 발흥
제2장 태종(太宗)과 헌종(憲宗)의 서정남벌(西征南伐)
제3장 송의 멸망과 원(元)의 통일
제4장 원의 전성과 동서교류
제5장 원의 황실과 4칸국[汗國]의 쇠퇴
제6장 원대의 조선과 일본
제7장 명(明)의 초기
제8장 티무르[帖木兒]제국의 발흥
제9장 명의 중기
제10장 교지(交趾)의 반란·복속과 연해의 해적
제11장 명의 말기
제12장 조선 및 명과 일본의 관계
제13장 유럽인[歐洲人]의 동래와 기독교의 포교
제14장 원과 명의 유학과 문예
제15장 무굴[莫臥兒]제국의 성쇠
제4편 근세사-단기 3977년 이후-
제1장 청(淸)의 개국과 통일
제2장 청 성조(聖祖)와 고종(高宗)의 업적
제3장 청의 제도와 학술
제4장 동양에서 유럽 여러 나라의 경쟁
제5장 대영제국[大不列顚] 지배하의 인도제국
제6장 아편전쟁(阿片戰爭)
제7장 장발적(長髮賊)의 난과 북청전쟁(北淸戰爭)
제8장 러시아[露西亞]의 동진과 파미르(파미어) 문제
제9장 프랑스[佛蘭西]의 후인도(後印度) 경략과 청과의 전쟁
제10장 일본의 명치유신(明治維新)
제11장 한(韓)·일(日)·청(淸)의 관계 및 일청전쟁(日淸戰爭)
제12장 청국의 내란과 외침
제13장 일로전쟁(日露戰爭)과 동양의 현세
찾아보기
영인|동양사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