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소셜네트워크와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인간 각각이 거대한 네트워크에 항시적으로 접속해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 기술적 대상 없이는 삶이 가능하지 않은 기술 의존의 시대에, ‘기술의 존재가치’와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던져 주고 있는 기술철학의 고전이다.
목차
서론
Ⅰ부_기술적 대상들의 발생과 진화
1장 _ 기술적 대상의 발생 : 구체화의 과정
추상적인 기술적 대상과 구체적인 기술적 대상
기술적 진화의 조건들
기술적 진보의 리듬 : 연속적인 부수적 개선과 불연속적인 주요한 개선
기술적 계보의 절대적인 기원들
2장 _ 기술적 실재의 진화 : 요소, 개체, 앙상블
기술적 진화에서 과진화(過進化)와 자기-조건화
기술적 발명 : 생명체와 발명적 사유에서 바탕과 형태
기술적 개별화
기술성의 보존과 연쇄적 진화. 이완의 법칙
기술성과 기술들의 진화 : 기술적 진화의 도구로서의 기술성
Ⅱ부_인간과 기술적 대상
1장 _ 기술 여건에 대한 인간의 근본적인 두 관계 양식
기술의 사회적 다수성과 소수성
아이가 습득한 기술과 어른이 사유한 기술
소수 기술과 다수 기술의 공통 본성. 백과사전주의의 의미
기술교육에서 다수적 양식과 소수적 양식을 종합해야 할 필연성
2장 _ 기술적 대상들의 세계와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문화가 갖는 조절 기능. 현실적인 문제들
진보 개념의 상이한 양상들
열역학과 에너지론으로부터 비롯한 진보 개념이 나타내는 인간과 기술적 대상의 관계에 대한 비판. 정보이론에 의거하여
인간과 기술적 대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정보에 대한 기술공학적 개념이 갖는 한계들. 기술적 개체들 안에 있는 비결정의 여지. 자동성
철학적 사유는 기술공학을 정초하면서 기술적 실재가 보편적 문화에 통합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Ⅲ부_기술성의 본질
1장 _ 기술성의 발생
생성에 적용된 위상 개념 : 위상으로서의 기술성
원초적인 마술적 단일성의 위상변이
기술적 사유와 종교적 사유의 분기(分岐)
2장 _ 기술적 사유와 다른 사유들 사이의 관계 맺음들
기술적 사유와 미학적 사유
기술적 사유, 이론적 사유, 실천적 사유
3장 _ 기술적 사유와 철학적 사유
결론
부록
기술 용어 해설
참고문헌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