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이라크전 민간인 학살 동영상은 미국, 우크라이나, 케냐 등 세계 각국에 정보공개와 투명성의 바람을 일으켰다. 이 책은 새로운 정치 대안인 투명성운동의 현재를 진단하고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관타나모에서 버락 오바마까지, 미국 정부의 정치투명성 문제에 대한 이중 잣대를 고발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추천의 글 피할 수 없는 물결, 투명성의 시대
서문
저자의 말
제1장 위키리크스의 역사적 순간
위키리크스의 역사적 등장
줄리언 어산지의 ‘집단학살’동영상 공개와 파장
줄리언 어산지와 엘스버그의 역사적 조우
‘집단학살’ 동영상을 공개한 브래들리 매닝
‘집단학살’ 동영상 폭로의 진실
위키리크스의 거침없는 폭로는 계속된다
제2장 네트워크 정치학 시대의 시작
아래로부터의 선거운동, 네트워크 정치
쌍방향 네트워크 정치의 혁신, 디지털 민주주의 토론회
현대 투명성운동의 이룩
제3장 희소성에서 풍요로움으로
투명성 사회로의 본격적인 행보
인터넷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정치블로그 데일리코스(Dailykos)
미국 조세 저항운동, 티파티(tea party) 운동의 경우
시민 디지털 정치 미디어 참여 혁명
세계 각국의 디지털 정치 참여도
수동적 미디어에서 능동적 미디어로
제4장 감춰진 비밀을 들추기
인터넷 멀티캐스팅 서비스 말라무드의 획기적 등장
‘진정한 최초의 웹2.0’애플리케이션의 등장
선라이트 재단(Sunlight Foundation)의 공식 출범
영국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등장
초창기 투명성운동의 시발점 - 크라우드스카우어링
투명성 지향 국민운동의 성공 사례
제5장 전 세계의 투명성운동
좌파와 우파를 아우르는 크로아티아의 폴리티카(Pollitika)
케냐의 투명성운동 사이트 엠잘렌도(Mzalendo)
투명성 프로젝트에 힘을 불어넣은 우샤히디(Ushahidi)
전 세계로 확산하는 투명성 프로젝트
투명성 네트워크 기술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
대중 참여 방안, 실행 공동체와 공동 개방 표준
제6장 열린 정부, 혁신인가 신기루인가?
투명성을 향한 오바마의 노력과 시행착오
투명성사회로의 변혁과 과제
제7장 비밀주의의 종말
정치와 투명성운동의 진실 게임
위기는 기회, 투명성운동의 시작
위키리크스의 무차별 공격, 세계의 판도를 바꾸다
극단적 투명성과 비밀주의
“투명성은 사람이 가진 힘에 비례해야 한다”
제8장 위키리크스와 투명성운동의 미래
줄리언 어산지, 비밀의 장막이 드러나다
투명성 활동 모델로서의 위키리크스
위키리크스가 불러온 투명성 혁명
진실을 말할 권리, 투명성운동의 미래
역자후기 위키리크스를 지나 투명성의 시대로
참고 자료
주석
부록 위키리크스 한국 관련 비밀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