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가장 큰 보상은 스스로 만족하는 힘
프롤로그 저항하거나 순종하거나_권위의 두 얼굴
인간은 통제에 기대고 싶어한다?
저항과 순종은 동전의 양면이다
‘자아’=‘나’가 아니다
당신은 선원인가, 선장인가?
인간의 내면은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다
비판을 넘어 희망으로
1부 무엇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가
01 보상을 멈추면 동기도 멈춘다
잃어버린 호기심을 찾아서
금전적 보상은 내면의 동기를 떨어뜨린다
돈은 양날의 칼이다
02 인간은 자율성을 꿈꾼다
처벌과 보상보다는 선택권을 주어라
무엇이 내면의 동기를 떨어뜨릴까?
한계 설정은 책임감을 키운다
03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결과만을 강조하는 외적 동기부여
평범한 존재의 순간보다 더 높은 차원의 경험
보상보다는 즐거움에 초점을 맞춰라
고전적 의미의 당근과 채찍
04 자신을 믿고 세상으로 나서라
자율은 인간의 삶을 바꾼다
‘착한 아이 되기’가 남긴 상처
승진보다 성취감이 좋아!
남자에게 약이 되고 여자에게 독이 되는 ‘칭찬’
자신의 능력을 믿고 스스로 결정하라
스스로 깨닫게 하라
2부 관계의 힘이 자율성을 키운다
05 개인의 자유는 어떻게 사회와 만나는가
인간의 마음, 과학과 만나다
인간은 기계인가, 유기체인가?
동기와 열정을 갉아먹는 사회적 환경
내 행동은 얼마나 자유로운가?
관계가 없으면 자아도 없다
06 세상에 두 발로 서다
규칙과 가치의 유기적 통합, 내면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지 마라
타인을 위한 상처뿐인 삶
건강한 내면화의 조건
아이의 자율성을 키우는 3가지 행동
자율과 관계 사이의 조화 찾기
자율성의 한계를 정하고 일관되게 적용하라
삶의 무게를 아이에게 떠넘기는 어른들
07 세상 속에서 자아 찾기
거짓 자아로 살아가는 사람들
조건부 사랑은 왜 위험한가
뚱뚱해져도 좋다고 생각하면 날씬해진다
진정한 자아 존중감 vs 조건부 자아 존중감
자아가 충만해지는 사랑의 기술
08 개인과 사회의 균형 잡기
허울뿐인 아메리칸드림의 실상
인생의 6가지 열망
건강한 삶을 지탱하는 인간의 기본 욕구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조화
개인주의 vs 자율성
3부 자율성을 꽃피우는 5가지 방법
09 자율성, 어떻게 키울 것인가
부모와 교사의 불협화음
문제는 자율성이다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 스스로 결정하게 하라
자율성의 한계를 정하라
목표 설정과 수행평가에서의 자율성 존중
보상은 신중하게
교사들의 통제는 언제 강해질까?
10 건강을 위한 자발적 선택
자신을 스스로 파괴하는 사람들
이제는 건강을 위해 나서야 할 때
왜 의사의 처방을 따르지 않을까
환자들의 자율성 존중이 건강을 지킨다
생물의학적 접근 vs 심리사회적 접근
치료 행동의 주체는 환자다
의료진을 교육하라
11 통제 속에서 자율성 찾기
역경을 딛고 성공한 사람들
악조건 속에서도 도와줄 사람을 찾아라
세상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동기부여의 개인차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나를 바꾸면 세상도 바뀐다
나는 내 경험과 감정의 경영자
외부 자극은 어떻게 감정을 자극하는가?
삶의 목표는 행복이 아니다
‘동기부여 기법’이란 것은 없다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라
에필로그 인간에게 자유란 무엇인가
임무는 즐거움이고 즐거움은 임무의 완성이다
전체주의 국가와 자유주의 국가의 자유
시대별 자유의 풍경
자유는 결국 선택과 책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