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인의 <흉노인 김씨의 나라, 가야>. 중국과 한국, 일본의 발굴 자료는 물론 중국의 방대한 기록으로부터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내용을 추려내 가야의 실제 모습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목차
서문 | 가야사, 그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구지가는 구야국 ‘마리’ 정복가 1세기 후반 김해 구야국 수장 나타나다 진한의 중국인 포로 낙랑 송환 및 배상문제 김해가야의 여전사들 김씨는 중국 서부 감숙성이 고향인 흉노인 가라국의 1세 김수로는 김시金諟 금관가야의 금관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알지는 제천금인의 금인金人 김해 양동리 고분군, 가야를 지배한 사람들의 무덤 가라국의 시작은 양동리 가곡마을 양동리고분에서 출토한 청동정의 비밀 허황후는 산동 제후국인 허국의 공주 우리말 속의 흉노어 및 알타이어와 가야어 대성동고분군, 김해가야 역사를 토해내다 고령 지산리고분군은 대가야 지배층의 무덤 동복은 본래 흉노에 특유한 유물 무용총 천정의 장사는 스모相撲선수다! ‘미추왕과 죽엽군’ 설화에 담긴 의미 양동리와 동시대 무덤인 경주 조양동고분군 흉노 김씨와 허황후는 최초의 불교 전래자 합천에는 묘산가야가 있었다 흉노인, 실크로드 장악하고 중국에 철기 전해
참고문헌 사진 및 그림 출전(출처)
서가브라우징
요하문명과 예맥2012 / 문안식 지음 / 혜안
요하문명과 예맥2012 / 문안식 지음 / 혜안
거꾸로 보는 고대사 :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2010 /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거꾸로 보는 고대사 :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2010 /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박영규의) 고대사 갤러리 : 동이에서 발해까지2015 / 지음: 박영규 / 옥당
규원사화2008 / 지음: 북애자 ; 옮김: 민영순 / 다운샘
정역 중국정사 조선·동이전. 1 : 《사기》·《한서》·《삼국지》·《후한서》에 기록된 우리고대사의 기원과 실체! 2021 / 지은이: 사마천 외 ; 옮긴이: 문성재 / 우리역사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