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_ 외국어 평가의 특성
1. 외국어 평가의 특성
2. 외국어 평가에 대한 오해
3. 맺음말
제2장_ 외국어 평가의 종류
1. 평가의 목적에 따른 분류
2. 평가의 준거와 관련된 분류
3. 과제의 특성에 따른 분류
4. 기타 분류
5. 평가에 관한 용어
6. 맺음말
제3장_ 의사소통능력
1. 언어 기능별 하위 구성 요소 모델
2. 단일 언어 능력 가설
3. 다요인가설
4. 수행평가 모형
5. 상호작용능력 모형
6. 특수목적을 위한 언어 능력 모형
7. 과업수행능력 모형
8. 언어의 네 기능 접근법의 한계
9. 맺음말
제4장_ 타당도
1. 평가 도구 평가 원칙
2. 타당도의 정의
3. 안면 타당도
4. 결과 타당도
5. 타당도 검증 방법
6. 맺음말
제5장_ 신뢰도
1. 정의 및 추정 원칙
2. 측정의 표준오차
3. 신뢰도 추정 방법
4. 준거참조평가 일치도 추정
5. 신뢰도 제고
6.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7. 맺음말
제6장_ 진정성, 영향, 실용성
1. 진정성
2. 영향
3. 실용성
4. 새로운 모형
5. 맺음말
제7장_ 외국어 평가 도구 개발 및 선정
1. 시험 개발 절차
2. 시험 선정 절차
3. 맺음말
제8장_ 평가 방법
1. 평가 방법의 정의
2. 평가 방법의 영향
3. 주요 평가 방법
4. 맺음말
제9장_ 문항 및 평가 결과 분석
1. 문항분석
2. 평가 결과 분석
3. 평가 결과 보고
4. 맺음말
제10장_ 읽기 평가
1. 읽기 능력
2. 조작적 정의
3. 평가 방법
4. 제작 원리
5. 맺음말
제11장_ 듣기 평가
1. 듣기 능력
2. 조작적 정의
3. 평가 방법
4. 제작 원리
5. 맺음말
제12장_ 쓰기 평가
1. 쓰기 능력
2. 조작적 정의
3. 평가 방법
4. 채점 방법
5. 제작 원리
6. 맺음말
제13장_ 말하기 평가
1. 말하기 능력
2. 조작적 정의
3. 평가 방법
4. 채점 방법
5. 제작 원리
6. 맺음말
제14장_ 어휘·문법 평가
1. 어휘 평가
2. 문법 평가
3. 맺음말
제15장_ 외국어 평가의 전망과 과제
1. 의사소통 능력
2. 평가 방법의 영향
3. 평가 도구 개발
4. 타당도
5. 평가 도구 사용
6. 학교 평가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