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춤의 화해는 실현될 수 있는가
제1장 예술환경과 춤의 지형변화
해방공간, 한국춤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
1. 머리말
2. 해방공간의 한국춤, 어떻게 볼 것인가
3. 좌우대립과 한국춤의 전개
4. 춤선구자들, 계몽적 문화의식 구현
5. 해방공간 한국춤의 성과와 의의
6. 맺음말
해방이후 한국춤의 지형과 문화담론
1. 해방이후 한국의 춤, 어떻게 볼 것인가
2. 해방공간(해방~6ㆍ25정쟁) : 볼모지에서 피어난 춤
3. 1950~1960년대 : 춤환경의 토대마련
4. 1970년대 : 계몽과 창작정신으로
5. 1980~1990년대 : 예술춤의 성취와 한계
6. ‘오늘 여기’ ,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다양한 주제, 전문적 시각의 접근
1. 머리말
2. 다양한 주제, 전문적 시각의 접근-춤학술
3. 예년과 비슷한 비평활동-춤비평
4.맺음말
요동치는 물결 속에 지각변동 예고
1. 문화예술계의 환경변화
2. 2004 요동치는 물결속의 춤양상
3. 주목되는 작품과 지각변동의 주역들
4. 남은 과제와 전망
왕성한 공연활동, 창조적 춤미학의 부재
1. 머리말
2. 전통춤 활동의 이모저모
3. 국공립단체의 무용활동 평가
4. 원로/중진세대 공연활동 활성화-소진된 창작정신
5. 맺는말
제2장 춤의 진화와 창조성
무중유시舞中宥詩, 무중유화舞中宥畵 그리고 유游
1. ‘몸짓’ 의 행간 읽기
2. 무중유시舞中宥詩, 무중유화舞中宥畵 그리고 유游
3. 아름다운 도전
소요적 逍遙的 사유, 그 창조의 여정
1. 경계를 뛰어넘어
2. 부유하는 의식의 소요적 逍遙的 기호화
3. 손인영의 존재이유
‘전傳’ 형식의 해체와 대안적 무대미학
1. 에술가적 ‘반란’ 의 기원
2. 신무용적 ‘길드’ 의 탈주
3. 전통의 현대화, 그 노정에서
4. ‘벼랑 끝에 서 있는’ 그녀
몸과 마음의 우주적 교감
1. 출생과 춤입문
2. 뉴욕무대에 서다
3. 선무禪舞의 창안과 보급
4. 이선옥의 존재론적 의의
제3장 춤의 충돌과 화해
양적 팽창에 비해 질적 향상 못미처
혼란을 넘어 안정의 자리로
다양한 유형의 직업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넓고 깊어진 오늘의 무용계와 대학교육을 생각한다
2006년 무용계 ‘혼란’ 속에 새로운 지형변화를 예고한 한 해
‘지원심의’ 관행부터 바꿔야
문화부의 무용계 지원 ‘4대 원칙’ 이란?
예술성ㆍ대중성 사이 묘수 찾아야
제4장 춤문화론과 비평안
새로운 춤문화가 싹는 길[道] 위에 서서
춤지식 담론의 부재, 창조적인 춤이론을 위하여
중국 조선족 무용학계의 관점과 연구성과
중국의 눈부신 변화, 각성해야 하는 한국 무용계
민족의 정체성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다
비평의 전문성을 과연 얼마만큼 획득하고 있는가
세계 예술춤의 러쉬와 비평적 선별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