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첫머리에
2장 서론
2.1 라그랑지안
2.2 해밀턴의 원리
3장 여러 종류의 입자들
3.1 디랙 입자
3.1.1 디랙 방정식
3.1.2 디랙 입자의 라그랑지안 밀도
3.1.3 확장된 디랙 방정식
3.2 게이지 입자
3.2.1 맥스웰 방정식
3.2.2 게이지 입자의 라그랑지안 밀도
3.2.3 확장된 게이지 입자의 라그랑지안 밀도
3.3 스칼라 입자
3.3.1 클라인-고든 방정식
3.3.2 스칼라 입자의 라그랑지안 밀도
3.3.3 확장된 스칼라 입자
4장 게이지 대칭성
4.1 국소적 게이지 변환과 글로벌 게이지 변환
4.2 글로벌 U(1) 게이지 대칭성
4.3 국소적 U(1) 게이지 대칭성
4.3.1 디랙 입자의 국소적 U(1) 게이지 변환
4.3.2 스칼라 입자의 국소적 U(1) 게이지 변환
4.3.3 게이지 입자의 국소적 U(1) 게이지 변환
4.4 글로벌 SU(2) 게이지 대칭성
4.5 국소적 SU(2) 게이지 대칭성
4.5.1 게이지 입자의 국소적 SU(2) 게이지 대칭성
4.5.2 디랙 입자의 국소적 SU(2) 게이지 대칭성
4.5.3 스칼라 입자의 국소적 SU(2) 게이지 대칭성
4.6 카이랄 U(1) 대칭성
4.7 카이랄 SU(2) 대칭성
5장 질량의 생성
5.1 저절로 깨지는 글로벌 U(1) 대칭성
5.2 저절로 깨지는 글로벌 SU(2)×U(1) 대칭성
5.3 저절로 깨지는 국소적 U(1) 게이지 대칭성
5.4 저절로 깨지는 국소적 SU(2)×U(1) 게이지 대칭성
6장 전자기 상호작용 UEM (1)
6.1 공변도함수의 일반적 모습
6.1.1 경입자의 공변도 함수
6.1.2 쿼크의 공변도함수
6.1.3 스칼라 입자의 공변도함수
6.2 게이지 입자들의 결합
6.3 국소적 UEM (1) 게이지 대칭성
6.3.1 게이지 입자들의 UEM (1)변환
6.3.2 경입자와 쿼크의 UEM (1)변환
6.3.3 힉스 입자의 변환
7장 표준모형
7.1 등장하는 입자들
7.2 SUL(2)×U(1)
7.3 라그랑지안 밀도
7.4 질량
7.4.1 스칼라 입자
7.4.2 게이지 입자
7.4.3 디랙 입자
8장 디랙 입자들의 세대
8.1 디랙 입자들의 게이지 변환
8.2 쿼크의 유카와 결합
8.3 쿼크의 질량행렬
8.4 이중 유니타리 (bi-unitary) 변환
8.5 질량 고유상태의 쿼크
8.6 쿼크의 운동에너지 항
8.7 Kobayashi-Maskawa 행렬
8.8 경입자의 유카와 결합
8.9 경입자의 운동에너지 항
9장 표준 모형이 라그랑지안 밀도: 최종 표현
마무리 하면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