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 백진현
서장 비확산과 핵확산: 이론적 시각 / 조동준
Ⅰ. 들어가며
Ⅱ. 핵확산 추세와 이론화 작업
Ⅲ. 비확산 추세와 이론화
Ⅳ. 나가며
1부 핵비확산체제의 현실과 평가
제1장 핵확산금지조약(NPT)의 성과와 한계 / 백진현
Ⅰ. 서론
Ⅱ. NPT의 체결 경위와 주요 내용
Ⅲ. 냉전종식 이후 NPT 체제의 발전 경과
Ⅳ. NPT의 내재적 취약점 및 한계
Ⅴ. NPT 체제에 대한 도전
Ⅵ. NPT 체제의 전망
제2장 핵물질 규제의 현실과 문제점 / 이병욱
Ⅰ. 서론
Ⅱ. 핵물질 규제 추진 과정과 목표
Ⅲ. 핵물질 규제와 문제점
Ⅳ. 효과적인 핵물질 규제 방안과 우리의 대응
제3장 국제원자력기구와 안전조치 / 이광석
Ⅰ. 국제원자력기구(IAEA)
Ⅱ. IAEA 안전조치체제
Ⅲ. IAEA 안전조치의 이행과 국제적 현안
Ⅳ. 결론 및 한국에의 함의
제4장 핵확산 방지구상(PSI)의 성과와 전망 / 이서항
Ⅰ. 서론: NPT의 문제점과 PSI 제기 배경
Ⅱ. PSI의 기본 개념과 성격
Ⅲ. PSI의 최근 발전과 성과
Ⅳ. PSI의 주요 쟁점
Ⅴ. 맺음말: PSI의 장래와 한국의 과제
2부 핵비확산체제에 대한 주요 도전
제5장 미국의 핵전략 변화와 함의 / 전성훈
Ⅰ. 서론
Ⅱ. 냉전시대의 핵전략
Ⅲ. 탈냉전시대의 핵전략
Ⅳ. 미국의 핵전략과 한반도
제6장 핵군축의 현황과 장래 / 한용섭
Ⅰ. 서론
Ⅱ. 세계의 핵군비경쟁 양상과 핵군축 도입의 배경
Ⅲ. 미·소 양국 간 핵군축의 전개 과정과 평가
Ⅳ. 영·프·중 기존핵보유국의 핵군축과 신생 핵보유국의 핵군축 동향
Ⅴ. 결론
제7장 핵비확산체제에 대한 도전: 북한과 이란 / 황지환
Ⅰ. 비확산체제의 성립과 위기
Ⅱ. 약소국의 핵 개발과 비확산체제에 대한 도전: 이론적 시각
Ⅲ. 비확산체제와 북한의 도전
Ⅳ. 비확산체제와 이란의 도전
Ⅴ. 맺음말
제8장 부시와 오바마: 핵 테러에 대한 두 가지 접근 / 신성호
Ⅰ. 들어가는 말
Ⅱ. 핵 테러의 가능성과 대응 방안
Ⅲ. 핵 테러에 대한 두 가지 대응
Ⅳ. 오바마 정부의 핵 테러 정책과 한반도
Ⅴ. 맺는말
제9장 핵확산과 유엔의 역할 / 박흥순
Ⅰ. 서론
Ⅱ. 핵확산 관련 유엔의 주요 기구 및 의제
Ⅲ. 유엔의 비핵확산 관련 주요 장치 및 수단
Ⅳ. 유엔안보리의 주요 활동 사례
Ⅴ. 비핵확산 관련 유엔의 기여: 역할 및 기능
Ⅵ. 유엔의 역할과 기여: 평가 및 한국에 대한 함의
Ⅶ. 결론
종장 한국의 핵비확산 정책: 평가, 비판 및 제언 / 장순흥
Ⅰ. 서론
Ⅱ. 국내외 원자력 환경 변화
Ⅲ. 한국의 원자력 정책
Ⅳ. 원자력 정책과 핵비확산
Ⅴ. 원자력 정책의 나아갈 길
Ⅵ. 결언
색인
편자 및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