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장 고대사회의 상공업과 그 형성
제1절 고대국가의 사회구성체적 성격
제2절 시전의 형성과 민간상업의 진전
제3절 관청수공업과 민간수공업
제2장 고려시대의 상공업과 그 변화
제1절 고려 사회의 중세적 성격
제2절 고려시대 상업의 발달
제3절 고려시대 수공업의 발달
제3장 조선시대 상공업과 그 변화(Ⅰ)
제1절 조선시대의 성격과 그 변화
제2절 조선 전기의 상업구조와 그 변화
제3절 조선 전기 수공업구조와 그 변화
제4장 조선시대 상공업과 그 변화(Ⅱ)
제1절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 자본주의 맹아론
제2절 특권상업의 전개와 민간상업의 발전
제3절 조선 후기 관청수공업의 해체와 민간수공업의 발달
제5장 개항기 상공업과 그 변화(Ⅰ)
제1절 개항과 근대의 기점 논의
제2절 세계자본주의체제에 편입과 외압의 실체
제3절 자본주의 문화의 유입과 반(半) 식민지화 과정
제4절 외압과 반(半) 식민지적 무역구조의 전개
제6장 개항기 상공업과 그 변화(Ⅱ)
제1절 외국상인의 침투와 민족상인의 대응
제2절 자본제 공업제품의 유입과 민족경제의 변화
제7장 식민지자본주의의 전개와 중소기업(Ⅰ)
제1절 일제 식민지 지배의 성격과 그 전개
제2절 식민지자본주의의 초기적 전개
제8장 식민지자본주의의 전개와 중소기업(Ⅱ)
제1절 식민지자본주의의 형성과 소공업문제
제2절 식민지자본주의의 고도화와 중소기업
〈보론 1〉 일제 식민지시대의 성격에 관한 제 이론(Ⅰ)
제1절 식민지사관과 유물사관에 의한 비판
제2절 내재적 발전론과 자본주의 맹아론
제3절 식민지반봉건사회론의 형성과 사회구성체론적 성격
제4절 이중구조론 및 식민지공업비지론
〈보론 2〉 일제 식민지시대의 성격에 관한 제 이론(Ⅱ)
제1절 민족경제론의 형성과 구조
제2절 식민지근대화론과 식민지수탈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