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합의’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거시경제 정책과 자유화 정책을 수립할 때 개발도상국의 구체적인 상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대안을 제시하는 책. 거시경제 정책의 논점과 목표를 다양한 관점에서 소개하며 거시경제 모형을 분석했고, 보수파, 케인스학파, 비정통파가 안정 및 자본시장 자유화 정책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살펴보았다.
목차
감사의 글
머리말
1부 개관
1. 핵심 문제들
2. 목표
2부 거시경제학
3. 정책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4. 개발도상국의 거시경제학은 선진국과 다른가?
5. 세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 정책 수단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6. 개방경제의 복잡성
7. 환율 관리 그리고 거시 관리에 쓰이는 미시적 수단
8. 정책 틀
9. 형식적 접근
3부 자본시장 자유화
10. 자본시장 자유화 : 찬성론과 반대론
11. 형식적 접근 : 자본시장실패
12. 자본시장 개입
13. 자본시장 자유화 : 요약과 남은 문제
4부 결론
14. 안정, 자유화, 성장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판단과 선택 : 왜 항상 우리는 기회는 차버리고 위험에는 빠져드는가?2019 / 지음: 유효상 / 클라우드나인
판단과 선택 : 왜 항상 우리는 기회는 차버리고 위험에는 빠져드는가?2019 / 지음: 유효상 / 클라우드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