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고 상인 집단인 휘주 상인의 성장 과정과 대운하라는 유통로가 끼친 영향을 다각도로 해석한 책. 대운하가 국가적 물류의 핵심 루트로 자리매김하는 과정과, 이러한 대운하를 둘러싼 중국의 정치·경제·사회적인 여러 요소에 다양하고 적절하게 대응하여 중국의 양대 상인 집단 중 하나로 성장한 엘리트 휘주 상인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1부 수도 북경과 대운하 1장 북경 천도와 대운하 1 북경의 입지 조건:“유험가의(有驗可依)”와 “유수통리(有水通利)” 2 불안한 정도(定都) 3 대운하의 역할과 한계 2장 1572~1573년 조량 해운의 '요절'과 그 의미 1 융(隆)·만(萬) 교체기 조량 해운의 시도와 단절 2 정국 변화와 조운 논쟁 3 조운을 둘러싼 명조 관료제 4 해금 정책 3장 견문록을 통해 본 대운하 1 대운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견문록 2 대운하의 노정(路程)과 시설 3 대운하의 운영과 물자 유통 4 대운하 연변의 도시 풍경과 하운
2부 휘주 상인의 회·양 지역 진출과 성장 4장 회·양 지역과 삼대정 1 회·양 지역 2 삼대정 5장 소설을 통해 본 휘주 상인의 대외 진출과 당면 과제 1 회주 상인의 대외 진출 2 유통업의 당면 문제 6장 회·양 지역의 도시 발전과 휘주 상인 1 도시 발전과 유동 인구 2 염운법의 변화와 휘주 상인의 성장 3 명·청 교체와 휘주 상인 4 휘주 상인에서 양주 상인으로
제3부 운하 도시의 현안과 휘주 상인의 대응 7장 강희제와 휘주 상인의 만남 ― 남순의 사회 경제사적 의미 1 명말·청초 흡현 잠산도 정씨의 회·양 이주 2 청초 회·양 지역의 수해와 남순 3 강희 남순과 휘주 상인의 대응 8장 수신 사묘와 휘주 상인 1 운하 도시의 수신 사묘 2 수신 사묘의 확산과 관부의 개입 3 휘주 상ㅇ인의 사묘 중건과 그 의미 9장 선당(善堂)·선회(善會)와 휘주 상인 1 양주 육영당과 대운하 2 진강 구생회와 구생선(救生船) 3 운하 도시의 공익사업과 휘주 상인 네트워크
군신, 함께 정치를 논하다 : 명대 경연정치의 변천과 그 의의2018 / 지음: 윤정분 / 혜안
중국을 뒤흔든 아편의 역사 : 15~20세기2009 / 정양원 지음 ; 공원국 옮김 / 에코리브르
明·淸 시대 湖廣 소수민족 지역의 土司와 국가 권력, 1368~1735 = Chieftaincy in Huguang ethnic-minority regions and state power during the Ming-Qing period, 1368~1735 2021 / 정철웅 지음 / 아카넷
자연의 저주 : 명·청 시대 장강長江 중류 지역의 개발과 환경2012 / 정철웅 지음 / 책세상
자연의 저주 : 명·청 시대 장강長江 중류 지역의 개발과 환경2012 / 정철웅 지음 / 책세상
대운하와 중국 상인 : 회·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2011 / 조영헌 지음 / 민음사
中國 近世 知性의 理念과 運動2002 / 曺永祿 지음 / 지식산업사
대운하 시대 1415~1784 = The age of the grand canal : 중국은 왜 해양 진출을 '주저'했는가? 2021 / 지은이: 조영헌 / 민음사
명나라시대 중국인의 일상2005 / 제롬 케를루에강 외지음; 이상해 옮김 / 대한교과서:
관료로 산다는 것 : 명대 문인들의 삶과 운명 2020 / 지음: 판수즈 ; 옮김: 이화승 / 더봄
관료로 산다는 것 : 명대 문인들의 삶과 운명 2020 / 지음: 판수즈 ; 옮김: 이화승 / 더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