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 조선전기 불교의 유교인식 - 기화(己和)·설잠(雪岑)·보우(普雨)·휴정(休靜)의 삼교조화론(三敎調和論)
1. 조선전기 불교의 삼교조화론이 지닌 성격
2. 『현정론』의 삼교조화론과 호불(護佛)변론
3. 『유석질의론』(孺釋質疑論)의 삼교대비와 불교우위론
4. 설잠(雪岑)의 삼교인식과 유·불교 비판
5. 보우(普雨)의 유불동조런
6. 휴정(休靜)의 삼교회통론과 유교인식
7. 조선전기 불교의 삼교조화론이 지닌 의미
2 조선후기 유교의 『장자』(莊子)이해- 한원진(韓元塵)의 『장자』해석과 비판논리
1. 조선후기 유학자의 『장자』해석의 성격
2. 『장자』 '내편'의 구조와 문체의 이해
3. 장자의 '도'개념에 대한 인식
4. 장자의 심(心)과 지(知)에 대한 인식
5. 장자의 '양생'·'처세'·'치도'에 대한 인식
6. 한원진의 성리학적 『장자』해석의 의미
3 조선후기 유교의 제자백가 인식 - 신후담(愼後聃)의 『팔가총평』(八家總評)을 중심으로
1. 신후담에서 제자백가에 대한 관심의 문제
2. 조선시대 유학자의 제자백가에 대한 관심
3. 신후담의 제자백가 인식의 입장
4. 유가류와 도가류의 인식
5. 제자백가의 인식
6. 신후담의 제자백가 인식이 지닌 인식이 지닌 의미
4 18세기 유교지식인의 천주교신앙 수용-윤지충·권상연의 천주사상과 영혼관
1. 18세기 유교지식인의 천주교신앙 수용과 윤지충·권상연의 위치
2. 성호학파 유교지식인의 천주교신앙 수용배경
3. 윤지충·권상연의 '천주'사상
4. 윤지충·권상연의의 영혼관과 천당지옥설
5. 윤지충·권상연의 폐제분주(廢祭焚主)사건과 신앙적 성격
6. 윤지충·권상연의 천주교신앙 수용이 지닌 의미
5 19세기 한국성리학의 시대인식과 서학(西學)·서세(西勢)에 대한 대응
1. 한국사상에서 19세기 성리학의 위치
2. 사회내부적 변동과 대응
3. 심설(心說)의 쟁점과 학파의 분화
4. 서학(西學)·서세(西勢)에 대한 비판과 배척론
5. 19세기 성리학의 사상사적 의미
6 명말(明末) 불교 - 천주교의 교리 논쟁
1. 명말(明末) 불교-천주교 교리논쟁의 성격
2. 명말(明末) 불교-천주교 교리논쟁의 전개
3. 『천주실의』에서 마테오 리치의 불교비판
4. 주광(株宏)의 천주교비판에 대한 천주교의 재비판
5. 지욱(智旭)선사의 유교적 입장에서 천주교비판
6. 명말 불교-천주교 교리논쟁의 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