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통서: 인문주의 혁명의 여명
사서독서법
횡거와 『중용』
기질지성과 천지지성
예수라는 고유명사
존재론의 역사
칸트의 존재론
하이데가의 존재론
럿셀의 기술이론
하나님, 예수, 그 모든 것을 기술하라
일상성 내면의 절대적 타자
유교와 종교의 문제
신성, 명사, 형용사
맹자의 6단계
1. 가욕지위선可欲之謂善。
2. 유저기지위신有諸己之謂信。
3. 충실지위미充實之謂美。
4. 충실이유광휘지위대充實而有光輝之謂大。
5. 대이화지지위성大而化之之謂聖。
6. 성이불가지지지위신聖而不可知之之謂神。
무신론과 이신론
도구적 이성과 의사소통적 합리성
휴매니즘은 배타적이어서는 아니 된다
과학과 종교의 융합
공자는 신앙의 대상이 아니다
화이트헤드의 종교관과 그 한계
고독과 달도
사마천의 언급: 『중용』은 자사작이다
자사의 탄생과 성장
공자학단의 인사이더들과 자사
곽점죽간이 말하는 자사
『예기』가 말하는 자사
사마천의 인류학적 탐사: 곡부 방문
『중용』이라는 서물의 성격: 일리–만사–일리
제1장 속의 주제의 다양성
성론性論–중용론中庸論–성론誠論
『중용설』과 『자사자』
이토오 진사이의 『중용』3분설
타케우찌 요시오의 『중용』2분설
『중용』 제20장과 『공자가어』 「애공문정」
『공자가어』와 왕숙: 위서논쟁
유학제일서로서의 『공자가어』의 새로운 등장
『공자가어』와 톨레란티아
죤 록크의 관용과 공자의 관용
삼무와 오지
의고풍의 종언
선진사상에 과도한 학파개념을 적용하지 말것
『공자가어』의 내용이 관련된 파편보다 더 오리지날
사맹학파의 실존성
전목의 『중용』 텍스트에 관한 견해
서복관의 전목 비판: 『중용』이 『맹자』에 앞선다
『자사자』와 곽점죽간문헌
『오행』이라는 새로운 문헌이 던진 충격
『오행』은 자사의 작이다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주희의 중용장구서
주희의 『중용』 제목풀이
자정자의 서언
번역에 관한 하나의 원칙을 논함
『중용中庸』
제1장 第一章
제2장 第二章
제3장 第三章
제4장 第四章
제5장 第五章
제6장 第六章
제7장 第七章
제8장 第八章
제9장 第九章
제10장 第十章
제11장 第十一章
제12장 第十二章
제13장 第十三章
제14장 第十四章
제15장 第十五章
제16장 第十六章
제17장 第十七章
제18장 第十八章
제19장 第十九章
제20장 第二十章
제21장 第二十一章
제22장 第二十二章
제23장 第二十三章
제24장 第二十四章
제25장 第二十五章
제26장 第二十六章
제27장 第二十七章
제28장 第二十八章
제29장 第二十九章
제30장 第三十章
제31장 第三十一章
제32장 第三十二章
제33장 第三十三章
후기後記
善本『中庸』總覽 아름다운 우리말 『중용』을 암송합시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