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화해적 가상의 두 양태 : 김수영과 김춘수의 시학 연구 = (A) study on Kim Soo-young's and Kim Choon-soo's poetics as dissonant aesthetic appearance
발행연도 - 2011 / 조강석 [지음]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67503
-
ISBN
9788956265995
-
형태
254 p. 24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시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지금껏 많은 연구자들은 김수영과 김춘수의 시론과 시세계를 대립적 관점에서 파악해왔다. 그러나 조강석은 <비화해적 가상의 두 양태>에서 두 시인을 대비적으로 인식하는 태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두 시인의 시학을 대비적 관점이 아니라 관계적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한국 현대시가 인식론과 윤리학을 아우르며 독자적 미학을 개척해나가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연구방법론
제2장 비화해적 가상으로서의 현대시
1. 가상으로서의 예술의 지위와 비화해적 가상으로서의 현대시
2. 이중구속과 주체의 시각장 - 시선(sight)과 응시(gaze)의 문제
3. 태도와 기법의 매개로서의 알레고리와 아이러니
제3장 시적'참여'와 무상성의 의미
1.〈후반기〉 동인과 '서정의 변혁'이라는 과제
2. 비화해적 가상의 두 양태 - 시적'참여'와 무상성
제4장 두 개의 이중구속과 이미지의 시각장
1. 유희/구원으로서의 시와 충동의 윤리학
2. 현상학적 시선과 천사의 눈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응시
3. 상대적 완전과 절대적 완전
4. 응시의 현전과 전복적 주체
제5장 시적 자유의 두 양태
1. '한계 속의 되풀이'와 아이러니
2. 아이러니와 시적 자유
3. 이질성의 충돌과 리얼리티의 독창성
4. 알레고리와 시적 자유
제6장 결론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