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울은 깊다>의 전우용, 한국 ‘회사’ 탄생의 전말을 들여다보다. 근대는 회사의 시대였다. 회사를 빼고 근대 자본주의 경제를 논할 수는 없다. 회사는 자본의 결합체이자 인간의 조직체이며 지식의 집적체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우리의 근대를 이해하고, 한국의 자본주의 경제가 어떻게 성립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 땅에 등장한 ‘회사’라는 존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며
1장 개항 이후(1876~1894) 한인 회사의 성립
1. 회사의 출현과 정부의 식산흥업정책
1) 회사의 출현 배경
2) 개항 직후의 식산흥업정책과 관영?관독상판형 기업
3) 정부의 회사 정책
2. 회사의 설립과 활동
1) 회사의 설립
2) 회사의 부문별 활동
3) 외국 자본과 한인 회사
3. 상업세 징수와 객주회사, 수세회사
1) 개항 이전의 상업세
2) 개항 이후 상업과세와 수세회사, 객주회사
2장 대한제국 전기(1895~1904) 회사의 분화와 발전
1. 대한제국 전기 회사 정책의 추이
1) 갑오·을미개혁기의 회사 정책
2) 대한제국 전기의 회사 정책
2. 대한제국 전기 회사의 분화와 증가
1) 회사의 설립과 활동
2) 상업세 징수와 상법회사
3) 도고회사와 수세회사의 난립
4) 외국 자본의 침투와 한인 회사
3. 회사 설립 주체의 변화
1) 관료층의 회사 참여
2) 상인층의 회사 설립
3장 대한제국 후기(1905~1910) 일제의 경제침탈과 한인 회사의 대응
1. 일제의 한인 회사 통제
1) 일제의 화폐?재정 정리와 한인 자본
2) 한인 회사의 권리 박탈과 일인 회사 지원
3) 한인 자본을 동원한 ‘국책회사’ 설립
2. 대한제국 후기 한인 회사의 설립과 활동
1) 회사의 설립 추이
2) 부문별 회사 활동
3) 상법회사 체제의 붕괴 287
4) 수세도고회사의 변질 292
3. 대한제국 후기 한인의 회사 참여 296
1) 관료층의 회사 참여 296
2) 상인층의 회사 참여 확대 301
4장 일제하(1911~1919) 조선회사령 체제와 한인 회사
1. 조선회사령의 제정과 시행
1) 조선회사령의 제정
2) 조선회사령의 개정과 폐지
2. 한인 회사의 설립 추이
1) 제1기(1911~1914)의 추이
2) 제2기(1915~1917)의 추이
3) 제3기(1918~1919)의 추이
3. 한인 회사 참여자들의 활동 양상
1) 회사 설립 주체의 변화
2) 한인의 회사 참여 양상
맺으며
부록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