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총 3부로 구성되었다. 현대시 교육의 위치를 되돌아보면서 전체적인 방향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현대시 교육 내용의 틀을 무엇을 중심으로 구조화할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을 순서대로 담았다.
목차
머리말
제1부
1장 현대사회와 현대시의 소통
1. 현대시와 문화
2. 소통으로서의 현대시 교육
3. 현대시 교육에서 작가, 텍스트, 독자
2장 현대시 교육의 반성과 과제
1. 단순 지식과 분석 중심의 시 교육
2. 독자의 발견과 다양한 시 해석의 강조
3. 전체적인 시 감상과 창작 교육의 강조
4. 현대시 교육의 과제
3장 현대시 교육의 목표와 방향
1. 현대시 교육의 목표
2. 현대시의 새로운 양상
3. 현대시 교육과 표현 매체의 변화
4. 현대시 교육의 방향
제2부
4장 현대시 교육론의 흐름
1. 방법론적 접근의 시작
2. 주제의 다양화
5장 현대시 교육과 교육과정
1. 문학 교육과정 이해하기
2. 문학교육으로서의 시 교육
6장 현대시 교육에서의 교사와 학습자
1. 수업: 체험과 성숙의 공간
2. 현대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3. 더불어 체험하기로서의 무학 수업
7장 교과서와 현대시 제재
1. 국어교육과 정전, 그리고 교과서 제도
2. 교과서 현대시 제재의 수용 양상
3. 현대시의 교과서 재구성 방안 및 방향
제3부
8장 현대시 교수·학습
1. 현대시 교수·학습에 대한 문제 제기
2. 현대시 교수·학습의 유의점
3. 현대시 교수·학습의 실제
4. 현대시 교수·학습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
9장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교육
1. 학습자의 시 감상 양상과 그 특성
2. 시를 시답게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한 방안
3. 현대시 이해와 감상의 실제
10장 현대시 창작 교육의 방법과 교수·학습
1. 교육과정과 시 창작 교육
2. 시 창작 교육 시 유의해야 할 사항
3. 시 창작 교육의 몇 가지 방법
11장 현대시 교육에서의 평가
1. 현대시 교육에서 평가의 특성
2. 현대시 평가 도구 개발의 유의점
3. 현대시 교육 평가의 실제
4. 기타 현대시 평가 방법: 시화집 만들기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