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 한국 현대문학의 성격
1. 한국문학의 영역
한국문학의 범주
한국의 고전문학
한국의 현대문학
2. 한국 현대문학의 성격
언어와 문체
양식과 제도
이념과 가치
3. 현대문학의 양식
소설과 경험적 상상력
발견으로서의 시적 형식
제2부 │ 개화계몽운동과 현대문학의 성립
1. 문명개화와 사회 변혁
개화계몽시대의 사회 변혁 운동
문명개화와 민족 주체의 인식
일본의 세력 확대와 식민주의 담론
2. 국어국문운동과 국문 글쓰기
국어국문운동의 전개
국문 글쓰기와 문인 계층
국문 글쓰기 양식의 분화
국문 글쓰기와 한자 혼용
3 현대소설의 등장
신문과 소설
소설의 양식 개념
계몽과 오락의 형식
전기 양식과 영웅적 인간상의 창조
우화와 풍자의 비판정신
신소설과 개인의 운명
4. 현대시의 형성
국문 글쓰기와 시가 개혁
전통 시가 형식의 붕괴
신시의 형식적 모색
전통 율격의 변화와 시 형식
5. 연희 형태의 변화와 신파극
전통 연희의 성격
연희 방식의 변혁
신파극의 등장
제3부 │ 일본 식민지시대의 문학
1. 식민지 지배와 민족의 문화적 대응
일본의 식민지 문화정책
반식민운동으로서의 문화 운동
한국문학과 식민지 민족어로서의 '조선어'
2. 일본 식민지시대의 소설
식민지 상황과 신소설의 해체
이광수와 현대소설
소설과 식민지 현실 인식
계급문학운동과 계급소설
현대소설의 모더니즘적 경향
현대소설의 사실주의적 성과
여성소설의 성장
3. 일본 식민지시대의 현대시
시적 형식의 실험과 자유시의 정착
민족 정서의 시적 발견
계급시의 등장과 경향성
시 정신과 감수성의 변화
시적 저항의 의지와 자기희생
4. 연극운동과 희곡 문학
연극운동과 희곡 문학의 정착
계급 문단의 연극운동
사실주의 극의 확립과 연극의 대중성
제4부 │ 한국 분단시대의 문학
1. 한국문학과 민족 분단
민족 분단시대의 문학
분단 문학의 정신적 지표
2. 분단시대의 소설
민족 해방과 국토 분단
현대소설과 산업화와 민주화 과정
여성소설의 확대
3. 분단시대의 현대시
민족 분단 상황과 현대시
순수와 서정의 세계
시의 현실 참여
민중시와 민중적 상상력
시적 기법과 서정성
4. 분단시대의 희곡 문학
민족 분단과 극문학의 분열
민속극의 현대적 변용
5. 문학비평의 논리와 형태
비평의 방법과 논리
민족문학의 이념적 갈등
참여론과 순수론
민족문학과 민중론
순수론과 분석주의 비평
역사주의 비평과 문학사 연구
제5부 │ 북한의 문학
1. 북한 문학의 성격
민족 분단과 북한 문학
문인 월북과 북한 문단의 형성
북한 문학의 역사적 변화
2. 북한 문학의 전개 양상
문학과 사회주의 국가건설
전후의 북한 문학
주체시대의 문학
3. 북한 문학의 문예 정책과 문예이론
북한 문예 정책의 성격
주체사상과 이념적 요건
북한 문학과 혁명성의 전통
찾아보기
인명
작품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