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다큐멘터리에 대해 생각하는 몇 가지 방법들
설명
정의
지식적 배경
선(先) 다큐멘터리의 기원
다큐멘터리 이론과 다큐멘터리 일반 역사에 관한 참고 도서
제2장 탄생기: 미국 작가들과 대중 인류학, 1922~1929년
로버트 플레허티의 작품
플레허티 방식
플레허티의 영향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3장 탄생기: 소비에트와 정치적 교화, 1922~1929년
논픽션
극영화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4장 탄생기: 유럽 아방가르드 작가와 예술적 실험, 1922~1929년
미학적 경향들
아방가르드와 다큐멘터리
세 가지 도시 교향곡
아방가르드의 종말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5장 탄생기: 영국, 1929~1939년
배경과 토대
체계
영화들
그리어슨과 플레허티
그리어슨의 공헌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6장 탄생기: 미국, 1930~1941년
좌파 영화
시간의 행진
정부 다큐멘터리
비정부 다큐멘터리
미국과 영국의 차이점
대단원
결론을 위한 여담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7장 확장기: 영국, 1939~1945년
초창기
교화
사회적 다큐멘터리
전투의 기록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8장 확장기: 캐나다 1939~1945년
국립영화위원회의 설립
극장용 시리즈
비극장 상영 영화들
요약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9장 확장기: 미국 1941~1945년
훈련
교화
전투의 기록
사회적 다큐멘터리
비교: 영국, 캐나다, 미국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0장 이루지 못한 약속: 전후 다큐멘터리 1945~1952년
전문 인력과 지도력
후원 제도
주제
접근방법과 기술요소들
마지막 관찰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1장 최상을 향한 염원: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B팀, 1948~1964년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2장 새로운 채널: TV를 위한 다큐멘터리, “황금 시대”, 1951~1971년
역사적 배경
다큐멘터리 시리즈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특성들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3장 영국 프리 시네마와 사회적 사실주의 극영화, 1956~1963년
비평적 배경
프리 시네마 영화들
정치적 문화적 상황들
사회적 사실주의 영화들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4장 다이렉트 시네마와 시네마 베리테, 1960~1970년
역사적 배경
새로운 기술과 최초의 영화들
다이렉트 시네마 대 시네마 베리테
다큐멘터리의 주제와 스타일의 효과
미학적, 윤리적 고려들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5장 1970년대 영어권 다큐멘터리: 대중의 힘
베테랑 감독들
베리테의 새로운 방향
사회적, 정치적 주안점
역사 다큐멘터리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6장 1980년대 영어권 다큐멘터리-비디오의 도래
케이블과 위성방송의 기술
사적(私的) 에세이 영화
역사영화
정치적 몰입
인종 및 민족적 소수자들
게이 레즈비언 문화의 재현
음악과 공연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7장 1990년대 그리고 이후의 영어권 다큐멘터리-현실의 조각들
사업과 기술: 나쁜 점과 좋은 점
미국 공영 텔레비전
켄 번즈 현상
지속되는 캐나다
영국에서의 발전
미국의 독립 제작자들
극장용 다큐멘터리
당시의 영화들
참고 도서
제18장 다큐멘터리에 관해 생각하는 몇 가지 다른 방법들
기술적 가능성
미학과 내용
재정적 측면
현실과 친밀한 행위들
최근의 이론
미래
결론
참고 도서
부록 1. 영화제
부록 2. 아카데미상 수상 다큐멘터리들
부록 3. 국립영화 등재 목록
부록 4. 그리어슨 어워드
부록 5. IDA 어워드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