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멜라니 조이의 책으로, 우리가 '고기를 먹으면 왜 안 되는지'가 아니라 '고기를 왜 먹는지'를 이야기한다. 쇠고기, 돼지고기를 먹을 때 우리는 살아 있는 소와 돼지를 떠올리지 않는다. 육식을 하는 사람들의 인식 과정에는 사라진 연결고리가 있다. 저자는 그 단절의 미스터리에서 일련의 질문을 이끌어 낸다.
목차
제1장 사랑할까 먹을까 개를 먹는 게 왜 문제인가 사라진 연결고리 공감(共感)에서 무감(無感)으로
제2장 육식주의: “원래 그런 거야” 육식주의 육식주의, 이데올로기, 현상 유지 육식주의, 이데올로기, 폭력
제3장 ‘진짜’ 현실은 어떤가 그들은 어디에 있는가 나쁜 것은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마라 돼지의 진실 쇠고기는 어디서 오나 닭과 칠면조 - 새대가리라고? 알 낳는 닭 - 생산 또 생산 젖소 - 짜고 또 짜고 송아지 - ‘쓸모없는 부산물’의 운명 물고기 등 해양동물 - 식품인가 생명인가 주저앉는 동물 - 죽음의 문턱에 서다 도축장 벽이 유리라면
제4장 부수적 피해: 육식주의의 또 다른 희생자들 우리는 얼마나 안전한가? 도축장의 인간 동물 우리 행성, 우리 자신
제5장 육류의 신화: 육식주의를 정당화하기 정당화의 세 가지N 신화를 만드는 사람들 공식적인 승인 - 합법화 육식은 정상적이다 육식은 자연스럽다 육식은 필요하다 자유의지라는 신화
제6장 육식주의의 거울 속으로: 내면화된 육식주의 인식의 트리오 대상화 - 동물을 물건으로 본다 몰개성화 - 동물을 추상적으로 본다 이분화 - 동물을 범주로 가른다 기술은 왜곡하고 격리한다 동일시와 공감화 혐오감 매트릭스 안의 매트릭스 - 육식주의의 스키마 출구는 여기다 - 육식주의 매트릭스의 허점
제7장 바로 보고 증언하기: 육식주의에서 공감으로 마음으로 본다 - 증언의 힘 무감에서 공감으로 증언에 대한 저항감 시대정신 바로 보기 증언의 실천 - 무엇을 할 수 있나 육식주의 너머로 증언하는 용기를
옮긴이의 글 주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10 / 정은 저 / 학지사
시선 과잉 사회 : 관계의 단절과 진실을 왜곡하는 초연결 시대의 역설 2022 / 지음: 정인규 / 시크릿하우스
제2차 세계대전과 집단기억 = Collective memories of world war Ⅱ2017 / 지은이: 박찬승 ; 아키코 다케나카 ; 황동연 ; G. 커트 피엘러 ; 박노자 ; 루시 녹스 ; 피터 프리체 ; 엮은이: 박찬승 / 한울아카데미
위기개입2002 / Richard K. James ; Burl E. Gilliland 공저 ; 한인영 외역 / 나눔의집
체제 정당화의 심리학 2024 / 지음: 존 T. 조스트 ; 옮김: 신기원 / 에코리브르
체제 정당화의 심리학 2024 / 지음: 존 T. 조스트 ; 옮김: 신기원 / 에코리브르
얼굴,한국인의 낯2000 / 조용진 지음 / 사계절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 육식주의를 해부한다2011 / 멜라니 조이 지음 ; 노순옥 옮김 / 모멘토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 육식주의를 해부한다 2021 / 지음: 멜라니 조이 ; 옮김: 노순옥 / 모멘토
허기사회 : 한국인은 지금 어떤 마음이 고픈가2013 / 주창윤 지음 / 글항아리
허기사회 : 한국인은 지금 어떤 마음이 고픈가2013 / 주창윤 지음 / 글항아리
(정직한 사람들을 위한) 인간 조종법2008 / 로베르 뱅상 줄, 장 레옹 보부아 지음 ; 임희근 옮김 / 궁리출판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 = Homo ludus2010 / 톰 지그프리드 지음 ; 이정국 옮김 / 자음과모음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 = Homo ludus2010 / 톰 지그프리드 지음 ; 이정국 옮김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