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문명의 역사에는 항상 물이 함께 해 왔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인류로 하여금 물이라는 존재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게 만들어 버렸다. 이 책은 물이 인간의 생활 범위에 들어오기 전부터 어떤 방식으로 존재해 왔는가를 보여 준다. 그리고 인간의 이용 수단이 아닌 역사를 함께해 온 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물을 만나게 해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생명을 지탱하는 물 생명과 물 ‘신석기 혁명’ 문명 전 단계의 물 악조건과 인간 우물 파기 카나트는 무엇인가? 저수지
제2장 생산을 위한 물 강우의 형태와 이용법 1. 서아시아에서의 관개 메소포타미아의 관개 이집트의 관개 2. 동아시아의 농법과 관개 황허 강 유역의 농법 치수와 농경 ‘장강 문명’의 발견 주나라 이후의 강남의 개발 수력 사회의 유형 밀과 쌀
제3장 천수농법의 전개 천수농법(天水農法)과 여러 문화 1. 지중해 주변의 농업과 삼림 이포제(二圃制)란? 지중해 농업의 모순 삼림의 황폐 삼림 파괴 2. 알프스 이북의 농업과 삼림 서유럽으로의 농업 전파 서유럽 문명의 특유한 농업의 개시 삼림과의 대결 삼림 소멸의 결과 물 부족 발생 3. 몬순 지대의 농업 남아시아와 동아시아 몬순 아시아의 특징을 둘러싼 논의 보(洑)의 관개 천수답에서 삼각주의 수리양식까지 앙코르 와트의 비밀 논의 발전 단계 4. 일본의 벼농사 논의 개발 역사 시대의 논 장원제의 승리와 붕괴 근세 일본의 벼농사 신전(新田) 개발 품종 개량
제4장 도시의 물 1. 오아시스 도시 2. 전근대 도시의 상수도 로마의 상수도 이슬람의 상수 중국 도시의 상수 에도 시대 일본의 상수도 3. 전근대 도시의 하수도 최초의 하수도 인더스의 하수도 애게 해 문명의 하수도 그리스의 오물 처리 로마의 하수도 이슬람의 하수 처리 한족 도시의 하수 처리 일본의 하수 처리 4. 근대의 상수도 런던의 상하수도 사업 유럽 대륙의 하수도 5. 현대의 상하수 처리 영국, 프랑스 이외의 상수 지하수의 조성 : 네덜란드 현대의 하수 처리 하수의 처리
제5장 물에 의한 어메니티 1. 정원 로마 시대까지의 정원 이슬람과 중국의 정원 2. 피부로 느끼는 물 수욕(水浴 미역) 로마의 욕장 문화 이슬람의 세정과 욕장 문화 서유럽의 목욕 문화 아시아, 특히 일본의 욕장 문화 일본의 ‘센토’ 온천 = 광천 서유럽의 온천 해수욕장 (보론) 요리와 물 3. 수향(水鄕)으로서의 도시 베네치아
제6장 이용되는 물 1. 에너지로서의 물 수차의 발명과 구조 고대 로마와 이슬람 수차 중국의 수차 일본의 수차 (보론)풍차 수력 발전 2. 교통·운수·소방에서의 물 배의 발달 운하의 조성 ‘대운하’ 근대의 운하 파나마 운하 소화수(:消火水) 펌프의 역할 3. 저장되는 물 오리엔트의 댐 남아라비아의 댐 인도의 저수지 페르시아의 댐 스페인의 댐 기독교 스페인의 댐 서유럽의 댐
제7장 현 단계의 물 문제 1. 공업용수 2. 중국의 물 위기 싼샤 댐 3. 물의 소유·점유를 둘러싼 문제 이슬람에서의 물의 규율 동아시사·일본의 물을 둘러싼 질서 국제화되는 물 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