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뮤지컬사 = (The) history of Korean musicals : since 1941
발행연도 - 2011 / 박만규 지음 / 한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50455
-
ISBN
9788946053205
-
형태
1005 p. 25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음악
>
극음악, 오페라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연극
>
뮤지컬
책소개
서울시립가무단 단장인 저자가 한국 뮤지컬 70년사를 무려 10여 년간에 걸쳐 집필한 책으로, 저자가 몸소 겪고 꼼꼼하게 모은 자료를 자세하게 소개하면서 독자를 뮤지컬의 세계로 안내한다. 풍부한 자료와 사진, 관계 인사 인터뷰를 망라해 뮤지컬, 연극, 성악, 무용 등을 전공하는 젊은이들에게는 실용적인 공연 입문서가, 뮤지컬 관객과 관계자에게는 뮤지컬 백과사전이 될 것이다.
목차
막을 올리며: 뮤지컬에서 뮤페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추천의 글: 한국 뮤지컬 사상 최초의 개가 / 박용구
추천의 글: 『한국 뮤지컬사』의 발간을 반기며 / 임영웅
추천의 글: 전성기를 확신했던 뮤지컬 개척자의 값진 기록 / 김백봉
추천의 글: 한국 뮤지컬의 산증인 박만규 선생의 체험적 뮤지컬사이자 뮤지컬 백과 / 정중헌
추천의 글: 한 땀 한 땀 새겨놓은 한국 뮤지컬사 / 박병성
추천의 글: 뮤지컬에 뜻을 둔 이들의 보배로운 안내서 / 박철호
추천의 글: 비로소 대하는 우리 뮤지컬의 발자취 / 남경주
추천의 글: 그 긴 세월의 저편으로 간 추억과 박 선생님의 『한국 뮤지컬사』 / 강효성
추천의 글: 붉은빛 노을처럼! / 차태호
추천의 글: 시린 가슴으로 엮어내신 『한국 뮤지컬사』 / 임용희
화보: 1~13부 관련 화보
1부 꿈의 예술 뮤지컬에 이르는 발자취
1. 민초들의 신명과 익살로 엮은 노래와 춤, 그리고 놀이
2. 일제의 탄압 아래 노래와 춤으로 꽃피운 항쟁
3. 대중산업 시대에 출발한 뮤지컬의 다양한 형식과 브로드웨이의 탄생
4. 뮤지컬의 특성과 브로드웨이의 걸작 뮤지컬
5. 브로드웨이의 빛과 그림자
6. 브로드웨이를 휩쓴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록 뮤지컬
7. 자존심을 되찾은 브로드웨이
8. 한국 뮤지컬의 효시와 발전 과정
2부 뮤지컬의 기본 형식과 뮤지컬을 엮는 사람들
1. 뮤지컬 음악의 기본 형식
2. 뮤지컬 무용의 기본 형식
3. 뮤지컬을 엮는 사람들
4. 뮤지컬의 여러 형식
3부 흥겹고 신비로운 우리 가락
4부 한국 뮤지컬의 근원, 굿과 탈춤
1. 굿
2. 탈춤
5부 무용
1. 궁중무용
2. 민족무용
3. 신무용
4. 발레, 현대무용, 재즈댄스
6부 가극과 악극 시대
1. 대중극 시대에서 뮤지컬의 발아기까지
2. 일제의 압제 아래 꽃피운 향토가극
3. 광란 속에 다가온 일제의 패망
4. 우리말을 되찾은 가극과 악극계
5. 격동과 포연 속의 엘레지
6.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의 대중국
7부 민간 차원의 뮤지컬 전문 단체 예그린악단
1. 제1차 예그린악단의 창단과 해산
2. 제2차 예그린악단
3. 제3차 예그린악단 ‘예그린’의 창단과 해체
4. 제4차 예그린기동대에 남은 단원들
5. 제5차 예그린악단과 참담했던 재기 공연
6. 제6차 예그린악단
7. 문화공보부 지원 단체가 된 제7차 예그린악단
8. 남북적십자회담 서울예술인 축하공연
9. 국립가무단에서 국립예그린예술단까지
8부 연극계 각 극단의 뮤지컬 공연
1. 불리한 여건에서 펼친 대담한 시도
2. 드라마센터와 실험극장의 해외 뮤지컬
3. 각 극단의 뮤지컬 공연
9부 극단 민예극장의 창단과 민족극 공연
10부 전문 극단의 막을 연 극단 현대극장
11부 세종문화회관의 개관과 서울시립가무단의 상임지휘자 및 단장
1. 개관 기념 공연 종합무대
2. 서울시립가무단의 상임지휘자들과 단장들
12부 남북공연단 교환과 북측의 무대예술
13부 88서울예술단의 출범
14부 예술의 전당 개관과 활력에 찬 뮤지컬 시대
1. 《스포츠조선》의 뮤지컬 보기 운동
2. 뮤지컬 활성화에 이바지해온 한국뮤지컬대상
3. 성장기의 뮤지컬
화보: 14~17부 관련 각 극단의 뮤지컬
15부 뮤지컬 전문 극단들의 다양한 시도
1. 서울뮤지컬컴퍼니의 뮤지컬
2. 극단 모시는 사람들의 뮤지컬
3. 극단 맥토의 창작뮤지컬
4. 각 극단의 뮤지컬
16부 88서울예술단에서 서울예술단으로
1. 역사적 상황과 인물들의 재창조
2. 서울예술단에 불어온 새바람
17부 서울시립가무단에서 서울시뮤지컬단으로
화보: 18~26부 관련 각 극단의 뮤지컬
18부 40여 년의 전통과 다양한 공연 양식을 선보이니 극단 가교
1. 창단 취지와 관객을 찾아간 10년
2. 극단 가교의 악극 10년
3. 극단 가교 편을 끝맺으며
19부 극단 미추의 민족극에 대한 열정
1. 극단 미추의 창단과 미추연극학교
2. 극단 미추와 MBC 마당놀이
3. 극단 미추의 공연
4. 극단 미추와 손진책 대표의 외줄기 집념과 열정
20부 종합 앙상블 연극집단 연희단거리패
1. 밀양연극촌과 우리극 연구소
2. 연희단거리패의 공연
21부 극단 신시와 해외 뮤지컬
22부 우리 뮤지컬의 세계화를 향한 에이콤의 약진
23부 극단 학전의 한국적 뮤지컬 문법 찾기
24부 (주)PMC 프로덕션의 브로드웨이 입성
25부 지방문화 활성화를 위한 뮤지컬, 뮤페라
26부 신앙의 교훈을 일깨운 뮤지컬
화보: 27부 관련 각 극단의 뮤지컬
27부 2000년대의 뮤지컬
1. 2000년대 초 한국 뮤지컬계의 흐름
2. 극단 현대극장의 창작뮤지컬
3. 연희단거리패의 창작뮤지컬
4. 극단 미추의 전통형 뮤지컬과 창작뮤지컬
5. (주)에이콤 인터내셔날의 뮤지컬
6. 극단 학전의 뮤지컬
7. (주)신시뮤지컬컴퍼니의 해외 뮤지컬
8. 서울시뮤지컬단의 뮤지컬
9. 서울예술단의 뮤지컬
10. 전문 극단의 뮤지컬
부록: 악보 및 한국뮤지컬대상 수상 목록
막을 내리며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