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은이 야마와키 나오시는 현재 한창 발전 도상에 있는 일본의 공공철학 운동을 이끌고 있는 학자 중 한 명으로서, 일본의 사회문제와 철학의 부재를 극복하기 위해 아카데미를 넘어서 일반 시민과의 대화를 지향하는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책은 야마와키 나오시가 '공공철학이라는 학문의 내용을 일반 독자들에게 가능한 한 많이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쓴 책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공공철학은 무엇을 논하고, 무엇을 비판하고, 무엇을 지향하는가
1. 공공적인 것이란 무엇인가
2. 미국에서의 공공철학의 전개―리프먼과 벨라
3. 공공철학으로서의 사회과학
4. 왜곡된 공사관과 문어항아리형 학문 상황
5. 공사이원론의 극복과 ‘활사개공’의 이념
6. 학문의 구조 개혁
7. 이데올로기 없는 시대의 '이념과 현실'의 통합
8. ‘자기-타자-공공 세계’의 이해
제2장 고전적 공공철학의 지적 유산
1. 고대 아테네의 폴리스 정치
2. 공공철학의 시조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
3. 스토아학파와 그리스도교의 공공철학
4. 근대의 정치적 공공철학의 전개―홉스, 로크, 루소
5. 경제를 둘러싼 공공철학
6. 칸트와 피히테의 공공철학
7. 그리고 헤겔
8. 유교 등에서의 공공철학적 요소
9. 근세 일본에서의 공공철학의 단서
제3장 일본의 근·현대사 다시 읽기
1. 메이지유신과 자유민권운동의 좌절
2. 후쿠자와 유키치의 국민주의적 공공철학
3. 다나카 쇼조의 에콜로지컬 공공철학
4.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공공철학―요시노 사쿠조와 후쿠다 도쿠조
5. 반면교사로서의 쇼와 초기 사상
6. 전후의 혁신적 공공철학―남바라 시게루와 마루야마 마사오
7. 기로에 선 1970년대
8. 전후 사회과학과 철학 비판
9. ‘사상’이 상실된 현대
제4장 공공 세계의 구성 원리
1. 사회이론의 프레임워크와 공공 세계
2. 커뮤니케이션
3. 정의(공정)
4. 인권·덕·책임―‘활사개공’의 기본 원리
5. 선하게 살기 위한 복지
6. 평화와 화해
7. 글로벌 퍼블릭 구즈
제5장 공공철학의 학문적 범위
1. 정치사회와 공공 세계
2. 경제사회와 공공 세계
3. 사회학 이론과 공공 세계
4. 과학 기술·환경문제의 공공철학
5. 교육의 공공철학을 위해서
6. 종교의 공공철학을 위해서
제6장 글로컬 공공철학을 위해서
1. 지금 필요한 것은 ‘글로컬’ 공공철학
2. ‘지역성’과 ‘현장성’
3. 지역 시민적 자기 이해와 다문화 공존의 논리
4. 응답적이며 다차원적인 ‘자기-타자-공공 세계’론
5. ‘민의 공공’의 다차원성
6. ‘존재·당위·가능’의 통합
맺는말
참고 문헌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