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한국 민주주의의 심화와 시민 사회
Part 1 한국 민주주의의 당면과제
제1장 한국 민주주의의 패러독스 / 김진현
Ⅰ. 민주주의의 위기
Ⅱ. 한국 민주화의 완벽한 성공
Ⅲ.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
Ⅳ. 맺는 말
제2장 민주와 운동과 민주주의 / 안병직
Ⅰ. 민주화 운동의 실체
Ⅱ. 민주화 운동의 사상적 배경
Ⅲ. 의심이 여지없는 대한민국의 정통성
Ⅳ.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제3장 뉴 거버넌스와 자원봉사 / 박재창
Ⅰ. 정보사회의 도래와 자원봉사의 발흥
Ⅱ. 정보사회의 도래와 근대정부의 실패
Ⅲ. 대안 정부로서의 뉴 거버넌스
Ⅳ. 뉴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본 자원봉사
Ⅴ. 자원봉사자의 관점에서 본 뉴 거버넌스
Ⅵ. 자원봉사와 자기모순의 해결과제
Part 2 선거과정과 시민참여
제4장 선거제도 개혁과 시민참여 / 김형준
Ⅰ. 서론
Ⅱ. 선거제도와 정치참여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선거제도 개편 방향과 과제
Ⅳ. 결론
제5장 선거구제 개편과 사회통합 / 강원택
Ⅰ. 서론
Ⅱ. 현행 선거제도에 대한 평가
Ⅲ. 대안에 대한 검토 1: ‘중대 선거구제’
Ⅳ. 대안에 대한 검토 2: 비례대표의 확대와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도입
Ⅴ. 결론
제6장 지방선거와 지역시민사회 / 오수열
Ⅰ. 머리말
Ⅱ. 민주주의와 선거
Ⅲ. 지방자치와 5ㆍ31지방선거
Ⅳ. 지역사회와 시민단체
Ⅴ. 지방선거와 시민사회의 역할
Ⅵ. 맺는 말
Part 3 정책입안과 시민사회
제7장 방송산업 정책과 시민사회 / 이창현
Ⅰ. ‘미디어법’ 논의를 시작하며
Ⅱ. 대기업의 방송진출의 문제점
Ⅲ. 대기업의 방송시장 진입에 따른 검토사항
Ⅳ. 대기업과 위험사회, 그리고 방송의 역할
Ⅴ. 결론: 대기업의 방송산업 진출의 시나리오와 문제점
제8장 세종시 수정안과 시민사회 / 조명래
Ⅰ. 세종시 수정론: 또 하나의 정략, 또 하나의 정파주의?
Ⅱ. 세종시 건설 타당성이 없다?: 수정론 논거의 비판
Ⅲ. 세종시 원인에 대한 잘못된 문제제기: 수정론 실체의 비판
Ⅳ. 세종시 대안에 대한 비판
Ⅴ. 결론: 원안의 올바른 추진을 위하여
제9장 외국인노동자와 시민사회 / 설동훈
Ⅰ. 외국인노동자의 국내 유입 실태
Ⅱ. 정부 정책의 문제점과 외국인노동자 인권 침해
Ⅲ. 외국인노동자 지원 시민단체의 발전
Ⅳ. 외국인노동자 지원 단체의 활동
Ⅴ. 외국인노동자 지원 단체의 미래 계획
Ⅵ. 맺음말
Part 4 경제권리와 사회협약
제10장 경제위기와 사회적 완충국가 / 조희연
Ⅰ. 위기와 위기 대응능력
Ⅱ. 글로벌 금융귀기와 한국형 개발모델의 성찰지점
Ⅲ. 지구화 시대의 ‘사회적 완충국가’ 를 향하여
제11장 경제위기와 사회적 상생전략 / 이학영
Ⅰ. 서론
Ⅱ. 성장의 한계와 가난 및 생태계 위기 해결방안
Ⅲ. 경제위기 대응을 위한 시민사회와 NGO의 역할
Ⅳ. 시민사회 자율의 대안 공동체 만들기
Ⅴ. 제안: 경제위기 시 긴급 사회안전망 만들기
Ⅵ. 결론: 자립 생태형 지역공동체를 꿈꾸며
제12장 경제위기의 극복과 사회협약 / 이찬근
Ⅰ. 미국으로 인한 상상력의 구속
Ⅱ. 외자지배가 초래한 우량의 역설
Ⅲ. 자본주의의 다양성과 스웨덴
Ⅳ. 사회적 대타협의 가능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