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작 <하이데거와 여성적 진리>에서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시문학이 만나는 지점과 그 의미를 밝힘으로써, 존재의 종말과 시원에 대하여 해명하기를 시도하였다면 이번에 출간된 <니체, 횔덜린, 하이데거, 그리고 게르만 신화>는 그 후반부라 할 수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서문: 서구 정신사의 흐름
도입부: 서구 세계와 그리스, 그리고 독일 철학자 하이데거 1. 독일 철학자 하이데거의 생애와 주요 관심사들 1) 하이데거는 누구인가? 2) 하이데거의 생애에서 보이는 주요 관심사의 흐름들 2. 서구 사상에서 고대 그리스 정신의 의미 1) 서구 세계에서 고대 그리스의 위치 2) “서구세계”에 대한 남구 중심적 이해와 북구적 이해의 차이: 루소의 경우
1부: 니체, 횔덜린, 하이데거에 이르는 독일 정신과, 고대 그리스 정신 1. 독일 낭만주의와 관념론, 횔덜린의 독일 정신과 그리스 2. 헤겔에 있어서 그리스와 독일 정신 3. 슈펭글러에 있어서 그리스와 독일 정신 4. 니체에 있어서 그리스와 독일 정신 1) 니체의 자기이해 2) 니체의 시대 비판: 독일 비판 3) 니체와 그리스 정신 4) 그리스 신 디오니소스와 게르만 신 오딘 5) 그리스 정신과 독일 정신에 대한“보편적”종합으로서 니체의 사상 6) 니체에 대하여 하이데거가 이중적 입장을 취하면서도 결국 비판한 근본적인 이유 5. 하이데거와 횔덜린에 있어서 그리스와 독일 정신 1) 횔덜린이 처한 독일의 시대적 상황과 고대 그리스 정신 2) 고대 그리스 작품에 대한 횔덜린과 하이데거의 입장 3) 횔덜린에 대한 하이데거의 평가의 근거: 그리스적 시원으로부터 게르만적 시원으로 4) 조국에 대한 횔덜린과 하이데거의 입장 5) 고대 그리스 정신과 횔덜린의 시로부터 고대 게르만 신화로
2부: 고대 게르만 신화와 하이데거 1.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존재”의 의미 1) 하이데거의 존재이해: “도대체 왜 존재자가 존재하며, 오히려 무가 아닌가?” 2) 게르만 신화에 나타난 존재이해: 도대체 왜 신들이 존재하며, 오히려 무가 아닌가? 2.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진리”의 의미 1) 하이데거의 진리론 2) 게르만 신화에서“진리”의 의미 3.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 속“죽음”의 의미 1) 하이데거의“죽음에의 존재”의 게르만 신화적 배경 2)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죽음”의 특징 3) 죽음에의 존재와 기분 4) 존재론적 내면의 소리 5) “죽음에의 존재”로의 결단성 4.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 사유의 본질 1) 하이데거에 있어서 사유의 본질로서 회상 2) 게르만 신화 속 동물들의 상징적 의미: 후긴(사유)과 무닌(회상) 5.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 언어의 본질 1) 하이데거에 있어서 언어의 본질 2) 게르만 신화에서 언어의 본질 6.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사물”의 본질 1) 사물에 대한 하이데거 주장의 독특성 2)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 속 사물들에 대한 비교적 고찰 3) 하이데거의 Ding과 게르만 신화 속 Thing 4)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 숲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