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대한민국 성인영어 첫걸음. 2
발행연도 - 2010 / Enjc 스터디 지음 / LanCom 랭컴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있음
-
등록번호
KM0000246823
-
ISBN
9788964371244
-
형태
255 p. 26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영어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한국정치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의 48년 체제 무엇이 문제인가. 이 책은 민주주의에 대한 관점에서 볼 때, 해방 3년기 국가 형성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당시의 여러 정치 세력들이 가치와 이념의 상대성을 인정하고 서로 공존을 모색했느냐, 아니면 가치나 이념 또는 권력의 배타적 독점을 추구했느냐에 있다고 주장한다. 해방 3년기는 후자의 과정으로 전개되어 민주주의에 반했다는게 말하고자 하는 요지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부 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한국 현대사
제1장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과 48년 체제
1. 현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48년 체제에 대한 세 가지 해석
3. 48년 체제의 형성 과정
4. 결론
제2장 한국의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1. 문제 제기
2. 한국 민주주의의 초기 구조:48년 체제
3. 민주화 과정과 자유주의 세력의 이중성
4.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를 둘러싼 논쟁
5. 결론
제2부 48년 체제하 정치 대표 체제의 구조
제3장 냉전 반공 체제하 대의 민주주의의 실험과 좌절
1. 서론
2. 제헌 및 정부 수립을 둘러싼 연합과 대립(1948년 5~7월)
3. 한민당, 독촉, 소장파의 정립과 국회의 대(對)행정부 우위(1948년 8월~1949년 5월)
4. 소장파의 몰락과 대(對)행정부 우위의 종식(1949년 6월~1950년 5월)
5. 결론
제4장 우파 독점의 정치 대표 제제에서 노동은 어떻게 대표되었나
1. 서론
2. 국회의 노동 이익 대표 기능에 대한 통시적 분석
3. 역대 국회의 노동 이익 대표 기능
4. 결론
제5장 진보 세력의 진입과 정치 대표 체제의 변화 가능성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분석 방법
3. 이슈의 비중을 통해 본 정당 경쟁 구도
4. 요인분석을 통해 본 정당 경쟁 구도
5. 결론
제3부 짧은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