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부터 사회복지현장에 몸담으면서 대구에서 사회적기업 '두두'와 '물물'을 만든 저자가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밀착형 고령자 사업을 벌이며 고령지역사회 문제의 해법으로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연구하면서 얻어낸 결과물이다.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함께 오랫동안 지역에서 시니어클럽 활동을 주도한 저자의 문제의식이 녹아 있는 것이 이 책의 특징이다.
목차
추천글 1 / 김재현 추천글 2 / 변재관 글을 펴내며 | 고령사회,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하여
제Ⅰ부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1장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 01. 일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출현 배경 02.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 03.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요소 04.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위치 05.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효과 2장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유형 01. 사업내용에 따른 분류 02. 사업형태에 따른 분류 03. 사업분야에 따른 분류 04. 사업성격에 따른 분류 3장 커뮤니티 비즈니스 만들기 01.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장과정 02. 아비코시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만들기 03. 요코하마시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만들기 04. 쿄토부 미야마정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만들기 05.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통한 지역 순환구조 구축 |보론| 일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현상과 과제
제Ⅱ부 일본과 한국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례 4장 일본 커뮤니티 비즈니스 탐방 01. 후랏또 스테이션 드림 02. 아모르토와 03. 워커즈 콜렉티브 본 04. 산포레 5장 한국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부 주도의 정책사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지방자치단체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례 지역사회 기반 '시니어클럽'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한국의 지역사회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례 6장 일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분야별 사례 1. 중간지원 분야 2. 복지 분야 3. 교육 분야 4. 환경 분야 5. 마을만들기 분야 6. 지역자원 활용 분야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인간과 환경의 커뮤니케이션 : 문화와 지속 가능한 개발2006 / 김용환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어떤 배움은 떠나야만 가능하다 : 생태마을에서 배운 교육, 지혜, 사랑 2020 / 지음: 김우인 / 열매하나
어떤 배움은 떠나야만 가능하다 : 생태마을에서 배운 교육, 지혜, 사랑 2020 / 지음: 김우인 / 열매하나
환경인문학과 인류의 미래 2021 / 지음: 김욱동 / 나남
동네 안의 시민경제 : 서울대생들이 참여 관찰한 지자체의 사회적경제2016 / 지은이: 김의영 / 푸른길
동네 안의 시민경제 : 서울대생들이 참여 관찰한 지자체의 사회적경제2016 / 지은이: 김의영 / 푸른길
딥 에콜로지 : 자연과의 화해를 위한 지혜의 생태학 2022 / 지음: 빌 드발 , 조지 세션스 ; 옮김: 김영준 [외] / 원더박스
같이 빌린 책
초고령사회 일본에서 길을 찾다 : 10년 먼저 온 초고령사회 일본이 사는 법2017 / 김웅철 지음 / 페이퍼로드
마을의 귀환 : 대안적 삶을 꿈꾸는 도시공동체 현장에 가다2013 / 오마이뉴스 특별취재팀 지음 / 오마이북
모두를 위한 마을은 없다 : 마을 만들기 사업에 던지는 질문2014 / 권단 ...[등]지음 / 삶창
아베 스캔들 : NHK 특종기자는 왜 옷을 벗어야 했나2019 / 지음: 아이자와 후유키 ; 옮김: 이상훈 / 나남
도쿄 30년, 일본 정치를 꿰뚫다2018 / 이현모 지음 / 효형
로마 공화국과 이탈리아 도시 : 통합과 조직의 역사 = Roman republic and Italian cities : a history of unification and organization of the Italian peninsula2010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엮음 ; 김창성 지음 / 메이데이
같은 주제의 책
괴물신입 인공지능 2020 / 지음: 이재박 / MID:
세상을 바꿀 테크놀로지 100 :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미래 산업 전망2017 / 지음: 닛케이 BP사 편저 ; 옮김: 이정환 / 나무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