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우리 역사에도 참된 보수주의자가 있는가?
1 장준하_근대 민족 국가를 향한 '야곱'의 길 - 식민지 기독교 민족주의자, 반공을 넘어서서 민주통일의 투사가 되다 / 윤상현
무외의 목소리를 가진 청년 장준하
장준하, 어떤 민족주의인가?
사상계, 반공의 뜻을 들고 문화운동을 이끌다
중립화 통일론에 반대하고 국토건설단에 온 힘을 쏟다
모든 통일은 선하다
근대 국가 형성의 돌베개가 되다
2 김병로_대한민국 초대 대법원장, 법 정신을 바로 세우다 - 민주주의 상식에 충실했던 민족주의자, 한국 보수주의의 모법이 되다 / 오제연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한 반공주의자
조선 왕조 명문가의 후예, 인권변호사로 나서다
청렴할 자신이 없으면 법원을 떠나라
사법부 수장, 국부를 비판하다 ─ 이승만과의 충돌
국민은 악법의 폐지를 요구할 권리가 있다
3 이회영_'삼한갑족'의 후예, 아나키스트가 되다 - 민족의 근심을 함께한 6형제, 항일무장투쟁을 선도하다 / 김도훈
한국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전형
망명 ─ 만주 지역 항일무장투쟁의 효시가 되다
민족의 자유를 위하여 ─ 아나키스트가 되다
계속된 항일운동, 암살 계획 그리고 체포
망명 생활 그리고 가족들
4 황현_망국에 대처하는 선비의 자세 - 정신 문명을 토대로 국가의 자존심을 생각하다 / 민회수
유작이 된 절명시
구한말의 3대 시인
도깨비 나라의 미치광이들과는 어울리지 않겠다
조선 땅의 '보수주의자' 황현
매천필하무완인 ─ 매천의 붓 아래 완전한 사람은 없다
을사늑약의 충격과 호양학교의 설립
선비의 소명
5 유형원_조정을 등지고 개혁을 구상한 사대부 - 1만 권 책 속에 살며, 조선 왕조 지배층에 새로운 참고서를 저술하다 / 양택관
궁벽한 시골에서 성리학적 사회를 세우다
과거를 포기하다
1만 권의 책 속에 살다
토지 제도 개혁으로 나라의 살림을 계획하다
노비제, 호적 제도, 화폐 유통 정비 ─ 사후에 주목받은 반계의 개혁사상
6 최영_황금 보기를 돌같이 한 구국의 장수, 백성의 존경을 한몸에 받다 - 망국의 책임을 딛고 구국의 영웅으로 남다 / 홍영의
황금보기를 돌같이 하라 ─ 부친의 유훈을 가슴에 새기다
타고난 무재를 세상에 선보이다
백성에게 폐를 끼치는 관리는 매질로 다스리다
그대와 함께 사방을 평정하기를
누구와 더불어 정치를 논할 것인가
공은 온 나라를 덮고 죄는 천하에 가득
내가 탐욕하지 않았다면 내 무덤에는 풀이 나지 않을 것이다
이 책 속의 사람들
이 책 속의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