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말글살이의 최전선이라 할 수 있는 신문의 교열기자가 제안하는 국어 실력 업그레이드 비법. 저자 개인의 언어관에서부터 재미있는 우리말의 어원, 헷갈리고 틀리기 쉬운 우리말, 버려야 할 일본어 잔재, 외래어 바로 쓰기, 깔끔하고 좋은 문장 쓰는 비법, 우리말 표기법 제대로 알기 등 우리말을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두루 담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제1부 말은 정신을 담는 그릇
언어는 생물이다
'말글 동네'의 이치
우리말의 두 얼굴
말… 생각할수록 어렵다
말의 정치학
'코시안'이라는 말에 숨은 편견
책임감 없는 가요 노랫말
개량한복은 생활한복으로
사전은 부지런히 고쳐야 한다
경계에 서 있는 말
이선 학교? 이선 공무원?
조심히 써야 할 말 '양성평등'
근거 없는 믿음
우리말글에 관한 절대권력
사전의 운명
스카이라인은 무너질 수 없다
안습, 간지, 솔까말, 고고씽
먹거리와 먹을거리
쓰임새가 확장된 말, 말, 말
북한어와 이질화
착각을 일으키는 사극의 호칭
무슨무슨 데이(day)라는 날
영어 섞어 쓰면 지식인?
우리말을 어지럽히는 과자 이름
국방색은 무슨 색일까
내 탓이오, 내 덕이오
손빗, 마른세수, 나무거울
교포와 동포
'설사약'과 '설사제'가 반대말이라고?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제2부 누구나 틀리기 쉬운 우리말
녹슬은 기차는 탈 수 없다
용서는 빌고, 자리는 빌려야 한다
개띠 해? 소띠 해?
'어눌한 생각'은 없다
그리고는? 아니, 그러고는!
사람에겐 알은체를 해야한다
'수고양이'와 '숫고양이'의 차이
밀서리일까, 밀사리일까
죽으려야 죽을 수 없다
'싸다'와 '쌓다'를 구별하자
서식은 동물에만 쓰고 식물에는 쓰지 않는다
고이 접어서 폴델레라
절대로 줄여 쓰면 안 되는 말
천상 여자는 없다
돈이 오가면 '결제', 상사 사인을 받으면 '결재'
빌리는 건 '임차'고 빌려주는 건 '임대'다
'뇌졸증'이란 병명은 없다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희노애락? 아니, 희로애락?
멈추는 건 '지양', 나아가는 건 '지향'
'칠칠찮잖다'는 결국 칭찬
'먹어 다오'와 '먹여 다오' 구별하기
대머리는 벗겨진 것이 아니라 벗어진 것
'한당'과 '불한당'은 같은 말
'걸맞은' 역할을 '알맞게' 하자
'유명세를 탔다'는 이상한 말
'쫓다', '좇다', 쫒다'의 차이
'다섯 배 적다'는 틀린 말
'불편부당(不偏不黨)'은 좋은 말
'용트림'과 '용틀임'의 차이
얼갈이와 봄동은 어떻게 다를까?
'쯤'과 '즈음' 구별해서 쓰기
원하 '던' 곳이'든' 아니'든' 하기 나름
아무개 선생님, '귀중', 부산일보사 '귀하'
목은 '메고', 가슴은 '설레다'
'산수갑산'은 갈 수 없다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잘사는 데만 관심 있지, 잘 사는 데는 관심 없다?
하늘은 '꾸물거리지'않고 '끄물거린다'
뺏다, 뺐다, 빼앗다
'일절'은 전혀 '일체'는 모두
'안절부절하다'라는 말은 없다
사이비 기자냐, 공갈 기자냐
구별과 구분만은 구별하자
비슷하게 생겼지만 뜻은 전혀 다른 말
담배 한 개비만 빌립시다
모둠 회 한 접시 주세요
대합과 개조개의 차이
조개엔 '껍데기'가 있고, 사과엔 '껍질'이 있다
창자가 끊어질 만큼 슬플 때는 '애끓다'
'부인'은 자기 아내를 부르는 말이 아니다
'상아'는 코끼리의 어금니가 아니라 앞니다
민들레에는 홀씨가 없다
'뒤처지면' 쫓아가고, '뒤쳐지면' 뒤집고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제3부 재미있는 우리말 어원
'떡값'의 네 가지 뜻
'몇 일'에 대한 미련은 이제 그만
말짱 '도루묵'의 어원
'한 치 오차'는 너무 크다
'박수무당'의 원뜻
우리말의 허풍, '베갯머리를 적시다'
'부실'과 '불실'의 차이
시치미, 산통, 낭패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제4부 버려야 할 일본어 잔재
쓰메끼리, 쇼유라멘, 뽀록
야메, 겐세이, 쇼부
사형 언도? 아니, 사형 선고
아직도 남아 있는 일본말의 흔적
뒷다마, 뒷담화
땡땡이 무늬가 아니라 물방울무늬
조리, 수금포
세 가지 일본식 한자어
봉급은 샐러리, 먹는 풀은 셀러리
정보는 찌라시에 실리지 않는다
유도리, 다대기
라지에타, 쇼바, 부레키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제5부 깔끔하고 좋은 문장 쓰는 비법
한 문장엔 한 가지 정보만!
욕심을 버리고 퇴고는 충분히 하자
서술어가 꼬이면 호응이 안 된다
'위치해 있다'는 자신감 없는 표현
난 널 사랑하고 있어?
'겹파동'은 자신감 부족 탓
'일당들', '역전앞', '놋주발', '전단지'
'약수물', '세간살이', '수억여 원'
'새끼 강아지', '대첩에서 승리했다', '대나무 죽순'
'자매결연 맺었다', '이해타산을 따진다',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다'
'식재하다'는 '심다'로 바꿔 쓰자
함부로 쓰면 거짓말되기 십상인 '석권'
말을 줄이는 것은 내공이다
소유격, 명사형 표현을 솎아내자
신년 되십시오? 새해 되십시오?
1m75cm라는 사족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제6부 외래어 표기법, 더 이상 헷갈리지 말자
외래어와 외국어
객지에서 고생하는 영어
한국 것은 카레? 인도 것은 커리?
왜 '쥬스'가 아니고 '주스'일까?
회사 이름을 정확히 표기해 주세요
몽고 대신 몽골을 써야 하는 이유
R의 진짜 이름
외래어 표기법 일부러 어기는 신문들
헷갈리는 외래어 L발음 표기의 모든 것-라이프, 호텔, 밸브, 블라인드
헷갈리는 프랑스어 [] 발음 표기의 모든 것-루주, 코르사주
함부로 쓰면 큰일 나는 고유명사
자장면, 바나나, 버스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제7부 우리말 표기 제대로 알기
문장부호의 역할
말소리와 기호
'투성이'는 접미사, '커녕'은 조사
큰집과 큰 집의 천지 사이
한번과 한 번의 차이
마침표와 물음표
모음조화의 변화
비슷한 토씨는 겹치지 않는 게 좋다
활용형 제대로 쓰기
사이시옷이 붙는 7가지 조건
'하루 만에'와 '오랫동안'
도로명의 사이시옷 표기
사이시옷 규정 예외 '사글셋방'과 '터줏대감'
사이시옷 규정 예외 '찻잔'과 찻종'
거리에서 만나는 틀린 말들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우리글 바로쓰기. 2 우리글 바로쓰기. 2 2009 / 이오덕 지음 / 한길사
우리 글 바로 쓰기. 1-5 우리 글 바로 쓰기. 1-5 2009 / 이오덕 지음 / 한길사
우리 글 바로 쓰기. 1-5 우리 글 바로 쓰기. 1-5 2009 / 이오덕 지음 / 한길사
우리 글 바로 쓰기. 1-5 우리 글 바로 쓰기. 1-5 2009 / 이오덕 지음 / 한길사
활자흔적 :  근대 한글 활자의 역사 활자흔적 : 근대 한글 활자의 역사 2015 / 지음: 이용제 ; 박지훈 / 물고기
우리말에 대한 예의 우리말에 대한 예의 2005 / 이진원 지음 / 서해문집
우리말에 대한 예의 우리말에 대한 예의 2005 / 이진원 지음 / 서해문집
우리말 사용설명서 : 교열기자 이진원의 국어 실력 업그레이드 비법 우리말 사용설명서 : 교열기자 이진원의 국어 실력 업그레이드 비법 2010 / 이진원 지음 / 서해문집
한글 6천 년  : 한글의 기원을 알면 잊혀진 역사가 보인다 한글 6천 년 : 한글의 기원을 알면 잊혀진 역사가 보인다 2015 / 지음: 이태호 / 정신세계사
동아시아 여러문자와 한글 : 한글 창제의 비밀을 밝히다 동아시아 여러문자와 한글 : 한글 창제의 비밀을 밝히다 2020 / 지음: 정광 / 지식산업사
훈민정음의 사람들 훈민정음의 사람들 2006 / 정광 지음 / 제이앤씨
한글의 발명 한글의 발명 2015 / 지음: 정광 / 김영사
조선언문실록  : 실록으로 보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한글 사용기 조선언문실록 : 실록으로 보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한글 사용기 2011 / 정주리 ; 시정곤 지음 / 고즈윈
조선언문실록  : 실록으로 보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한글 사용기 조선언문실록 : 실록으로 보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한글 사용기 2011 / 정주리 ; 시정곤 지음 / 고즈윈
유물로 보는 한글의 역사 유물로 보는 한글의 역사 2016 / 지음: 정창권, 윤종선, 노혜진, 박현정, 윤태근 / 북코리아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500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500 2013 / 여문주 지음 ; 김조운 그림 / 인이레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 2022 / 지음: 김혜순 / 문학과지성사
(중앙일보어문연구소가 펴낸) 우리말 바루기 (중앙일보어문연구소가 펴낸) 우리말 바루기 2014 / 글: 중앙일보어문연구소 / HadA(하다)
(보리국어사전을 편찬한 윤구병 선생님의)내 생애 첫 우리말 (보리국어사전을 편찬한 윤구병 선생님의)내 생애 첫 우리말 2016 / 지음: 윤구병 / 천년의상상
통계의 거짓말 통계의 거짓말 2016 / 게르트 보스바흐, 옌스 위르겐 코르프 [공]글 ; 강희진 옮김 / 작은책방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 한국어 사용자의 필독서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 한국어 사용자의 필독서 2013 / 김남미 지음 / 나무의철학
죽음의 자서전  : 김혜순 시집 죽음의 자서전 : 김혜순 시집 2019 / 지음: 김혜순 / 문학실험실
현기증. 감정들 : W.G. 제발트 장편소설 현기증. 감정들 : W.G. 제발트 장편소설 2014 / W.G. 제발트 지음 ; 배수아 옮김 / 문학동네
우리말이 아파요 우리말이 아파요 2005 / 박용찬 지음 / 해냄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 2015 / 지음: 칙 무어만, 낸시 웨버; 옮김: 윤미나 / 한문화멀티미디어
메시지 : 완역본 메시지 : 완역본 2015 / 유진 피터슨 지음 ; 김순현 ...[등]옮김 ; 윤종석, 이종태, 홍종락 / 복있는사람
올랜도 올랜도 2008 / 버지니아 울프 지음 ; 최홍규 옮김 / 평단문화사
한글맞춤법 강의 한글맞춤법 강의 2012 / 이희승 ; 안병희 ; 한재영 공저 / 신구문화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맞춤법 500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맞춤법 500 2013 / 여문주 지음 ; 김조운 그림 / 인이레
한글의 발명 : 한글 연구의 차원을 바꾼 심도 깊은 역작 한글의 발명 : 한글 연구의 차원을 바꾼 심도 깊은 역작 2015 / 지음: 정광 / 김영사
(달인의) 띄어쓰기·맞춤법 : 한국인이 가장 잘 틀리는 우리말 5500제 (달인의) 띄어쓰기·맞춤법 : 한국인이 가장 잘 틀리는 우리말 5500제 2021 / 편저자: 최종희 / 국민출판
맞춤법을 알고 나니 사회생활이 술술 풀렸습니다 맞춤법을 알고 나니 사회생활이 술술 풀렸습니다 2019 / 지음: 함정선 / 메이트북스
우리 글 바로 쓰기. 5 우리 글 바로 쓰기. 5 2009 / 이오덕 지음 / 한길사
한글 이야기. 1 - 2 한글 이야기. 1 - 2 2013 / 홍윤표 / 태학사
한글 이야기. 1 - 2 한글 이야기. 1 - 2 2013 / 홍윤표 / 태학사
(차곡차곡 익히는)우리말 우리글. 1: 단계별 어문 규범 길라잡이 (차곡차곡 익히는)우리말 우리글. 1: 단계별 어문 규범 길라잡이 2012 / 이관규 외 지음 / 박이정
한판 붙자, 맞춤법! 한판 붙자, 맞춤법! 2020 / 지음: 변정수 / 뿌리와이파리
안녕? 나의 한글 맞춤법 안녕? 나의 한글 맞춤법 2017 / 지음: 엄지인 ; 일러스트: 곽수진 / 다락원
한글전쟁 : 우리말, 우리글, 5천년 쟁투사 한글전쟁 : 우리말, 우리글, 5천년 쟁투사 2014 / 김흥식 지음 / 서해문집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 한국어 사용자의 필독서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 한국어 사용자의 필독서 2013 / 김남미 지음 / 나무의철학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2012 / 박창원 저 / 지식과교양
(틀리기 쉬운)우리말 바로 쓰기 (틀리기 쉬운)우리말 바로 쓰기 2015 / 지음: 정재윤 / 현북스
(유광종의 지하철)한자 여행 : 역명에 담긴 한자, 그 스토리와 문화를 읽다. 2 (유광종의 지하철)한자 여행 : 역명에 담긴 한자, 그 스토리와 문화를 읽다. 2 2016 / 유광종 글 / 책밭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1
40대0
50대1
60대1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1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2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