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미학을 통해 동아시아 정신과 문화를 가장 심층에서 분석하고 있는 책. 미학하면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헤겔 같은 서구 미학만 생각나는가? 주위에 항상 있었지만, 정작 놓치고 있었던 동아시아 미학의 24개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설명하면서도, 그 키워드를 한자와 함께 한글로 나란히 풀어쓰고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사건, 인물, 철학 사조 중심이 아니라 키워드로 동아시아 미학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어판 저자 서문 역자 서문 머리말 1. 동서 문예 사상의 비교와 융합 2. 동아시아 문예 사상 연구의 새로운 출발 3. 객관 현실로부터 출발과 개념 분석의 종합 4. 공시성과 통시성 제1부 주나라 시대의 예(禮)와 문예사상 제1장 이끄는 글 제2장 문(文)과 질(質) [형식과 내용, 꾸밈새와 본바탕, 화려미와 소박미] 1. 문ㆍ질의 기본적 의미 : 형식과 내용(제1의) 2. 문질빈빈(文質彬彬), 꾸임새와 본바탕의 유기적 결합(제2의) 3. 문ㆍ질의 세 번째 의미 : 화려미와 소박미(제3의) 4. 질(내용ㆍ천성ㆍ소박미)을 중심으로 하는 문질 이론 5. 주나라 시대의 문질관과 고대의 문론 제3장 성(性)과 정(情) [본성과 감정] 1. 천성과 문예 2. 욕망과 문예 3. 감정과 문예 4. 주나라 성정관의 터다지기 효과 제4장 예(禮)와 악(樂) [몸과 정신, 거리두기와 가까이하기, 억제와 발산] 1. 몸의 예와 정신의 악 2. 거리두기의 예와 가까이하기의 악 3. 억제의 예와 발산의 악 4. 예ㆍ악 대조의 의의 제5장 중(中)과 화(和) [들어맞음과 어울림] 1. 주나라와 고대 그리스의 ‘중용’의 도 2. 주나라와 고대 그리스의 ‘조화’ 이론 3. 주나라와 고대 그리스의 ‘중화’미의 공통점과 차이점 4. ‘중화’의 미가 고대 문예사상에서 차지하는 지위와 작용 제6장 은(隱)과 현(顯) ― 상 [숨김과 드러냄(또는 암시와 명시, 간접 표현과 직접 표현)] 1. 예의 너그러움과 함축성 2. 휘언휘서(諱言諱書) - 말하기와 쓰기의 꺼리기 현상 3. 칭위포폄(稱謂褒貶) - 호칭에 의한 대우의 차별 4. 상징 5. 비유 6. 남은 말 제7장 은(隱)과 현(顯) ― 하 [숨김과 드러냄(또는 암시와 명시, 간접 표현과 직접 표현)] 1. 요덕양문(耀德揚文) - 덕을 빛내고 문을 드날리다 2. 사순언문(辭順言文) - 반듯한 사리와 전거 있는 표현 3. 명변의심(名辨義深) - 명명의 차이와 깊은 속뜻(의미) 4. 덕성물비(德盛物備) - 넘치는 덕과 완비된 사물 5. ‘은과 현’ 이론의 소결론 제8장 충(忠)과 신(信) [충실과 신뢰] 1. 충ㆍ신 관념의 형성과 그 의미 2. 충과 “음악만은 거짓이 될 리가 없다” 3. 신뢰 그리고 효과(효험)가 확실한 말(약속) 4. 충신 이론과 후대의 문예사상 제2부 주나라의 음양학설과 문예사상 제9장 이끄는 글 1. 보편적 사회 사상으로서 음양이론 2. 유가 사상과 음양학설 3. 문예사상과 음양학설 제10장 형(形)과 신(神) [몸과 정신] 1. 원시 종교의 형신 개념 2. 예악과 형신의 대응관계 3. 꼴과 정신의 아울러 갖춤, 정신에 의한 몸의 통제 4. 형신 이론과 후대의 문예사상 제11장 기(氣)와 미(味) [기와 맛] 1. 주나라의 기와 맛(味) 2. 맛은 어떻게 미학의 개념이 되었을까? 3. 주나라의 기미관과 고대 동아시아 문론의 맛(味) 4. 차이나ㆍ인도 고대 문론에 나타난 맛(味) 제12장 강(剛)과 유(柔) [굳셈과 부드러움] 1. 음양학설과 강유(剛柔) 개념 2. 강유와 서로 대응되는 개념 3. 주나라 문예 사상의 강유관 4. 유협의 강유관 제13장 동(動)과 정(靜) [움직임과 고요함] 1. 동정 개념의 발생과 발전 2. 예는 정적이고 악은 동적이다 - 예정악동(禮靜樂動) 3. 움직임과 고요함의 결합 4. 묵직함과 느긋함(典重舒緩)의 아름다움 5. 동정관과 후대의 문론 제14장 청(淸)과 탁(濁) [맑음과 흐림] 1. 청탁과 음양 2. 주나라 문예사상의 청탁관 3. 청탁 이론의 역사 발전 제15장 허(虛)와 실(實) [비어있음과 차있음] 1. 음양과 허실 2. 유가 문예사상의 허실관 3. 유가와 도가의 허실관 대조 4. 허실 이론의 계승과 발전 결론 1. 음양의 삼투성 2. 왕복성 3. 상징성 4. 간략한 평가 부록 순자와 여불위의 『악기』 개조 1. 예술효과 : 『악기』의 상대적 자율론과 『순자』의 도구론 2. 주체의 강화(『악기』)와 자의식의 소면(『여씨춘추』) 3. 『악기』개조의 차이점 저자 후기 저자 참고문헌 역자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인간학적 미학 : 융합학문으로서 '미학'의 탄생과 형성지형에 대한 연구 인간학적 미학 : 융합학문으로서 '미학'의 탄생과 형성지형에 대한 연구 2021 / 지은이: 김윤상 / 씨아이알
터프 이너프 : 진실을 직시하는 강인함에 관하여 터프 이너프 : 진실을 직시하는 강인함에 관하여 2019 / 지음: 데보라 넬슨 ; 옮김: 김선형 / 책세상
플로티노스의 미학과 예술의 존재론적 지위 플로티노스의 미학과 예술의 존재론적 지위 2008 / 노영덕 지음 / 한국학술정보
푸코의 미학  : 삶과 예술 사이에서 푸코의 미학 : 삶과 예술 사이에서 2018 / 지음: 다케다 히로나리 ; 옮김: 김상운 / 현실문화연구
미의 기원과 본성  : 철학적연구 미의 기원과 본성 : 철학적연구 2012 / 드니 디드로 지음 ; 이충훈 옮김 / b
미학 안의 불편함 미학 안의 불편함 2008 / 자크 랑시에르 지음 ; 주형일 옮김 / 인간사랑
이미지의 운명  : 랑시에르의 미학 강의 이미지의 운명 : 랑시에르의 미학 강의 2014 / 지음: 자크 랑시에르 ; 옮김: 김상운 / 현실문화
동아시아 미학 : 동아시아 정신과 문화를 꿰뚫는 핵심 키워드 24 동아시아 미학 : 동아시아 정신과 문화를 꿰뚫는 핵심 키워드 24 2010 / 리빙하이 지음 ; 신정근 옮김 / 동아시아
거울 앞 인문학 거울 앞 인문학 2021 / 엮음: 장프랑수아 마르미옹 ; 옮김: 이주영 / 윌북
거울 앞 인문학 거울 앞 인문학 2021 / 엮음: 장프랑수아 마르미옹 ; 옮김: 이주영 / 윌북
미학적 힘  :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미학적 힘 :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2013 / 크리스토프 멘케 지음 ; 김동규 옮김 / 그린비출판사
(S라인을 꿈꾸는 청춘에게)내 몸을 찾습니다 (S라인을 꿈꾸는 청춘에게)내 몸을 찾습니다 2011 / 몸문화연구소 지음 / 양철북
(S라인을 꿈꾸는 청춘에게)내 몸을 찾습니다 (S라인을 꿈꾸는 청춘에게)내 몸을 찾습니다 2011 / 몸문화연구소 지음 / 양철북
심미주의 선언 심미주의 선언 2015 / 지은이: 문광훈 ; , / 김영사
심미주의 선언 심미주의 선언 2015 / 지은이: 문광훈 ; , / 김영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애도하는 미술  : 죽음을 이야기하는 98개의 이미지 애도하는 미술 : 죽음을 이야기하는 98개의 이미지 2014 / 지은이: 박영택 / 마음산책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아름다움의 구원 아름다움의 구원 2016 / 한병철 지음 ; 이재영 옮김 / 문학과지성사
심미주의 선언= Manifesto for life aesthetic: 좋은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심미주의 선언= Manifesto for life aesthetic: 좋은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2020 / 지음: 문광훈 / 김영사
잉여의 미학 : 샤르트르와 플로베르의 미학 이중주 잉여의 미학 : 샤르트르와 플로베르의 미학 이중주 2014 / 박정자 지음 / 기파랑
원효와 하이데거의 대화  : 근본의 사유 원효와 하이데거의 대화 : 근본의 사유 2014 / 김종욱 지음 / 동국대학교출판부
심미안 수업  : [이북 E-book] : 어떻게 가치 있는 것을 알아보는가 심미안 수업 : [이북 E-book] : 어떻게 가치 있는 것을 알아보는가 2018 / 지음: 윤광준 / 지와인
일시적 존재론 일시적 존재론 2018 / 지음: 알랭 바디우 ; 옮김: 박정태 / 이학사
미학 수업 : 품격 있는 삶을 위한 예술 강의 미학 수업 : 품격 있는 삶을 위한 예술 강의 2019 / 지음: 문광훈 / 흐름출판
자연 존재론 : 자연과학과 진리의 문제 자연 존재론 : 자연과학과 진리의 문제 2008 / 소광희 지음 / 문예출판사
글래머의 힘  : 시각적 설득의 기술 글래머의 힘 : 시각적 설득의 기술 2015 / 버지니아 포스트렐 지음 ; 이순희 옮김 / 열린책들
들뢰즈의 미학 : 감각, 예술, 정치 들뢰즈의 미학 : 감각, 예술, 정치 2019 / 성기현 지음 / 그린비출판사
(타타르키비츠)美學史. 1, 고대미학 (타타르키비츠)美學史. 1, 고대미학 2005 / W. 타타르키비츠 지음 ; 손효주 옮김 / 미술문화
(타타르키비츠)美學史 . 3, 근대미학 (타타르키비츠)美學史 . 3, 근대미학 2008 / 브와디스와프 타타르키비츠 지음, 손효주 옮김 / 미술문화
하늘이 낸 세상 구원의 공식 : 진리가 되어 천국에 사는 방법 하늘이 낸 세상 구원의 공식 : 진리가 되어 천국에 사는 방법 2005 / 우명 지음 / 참출판사
철학적 사유와 진리에 대하여. 1-2 철학적 사유와 진리에 대하여. 1-2 2004 / 김형효 지음 / 청계
아름다움은 힘이 세다 : 죽어있는 일상을 구원해줄 단 하나의 손길, 심미안 아름다움은 힘이 세다 : 죽어있는 일상을 구원해줄 단 하나의 손길, 심미안 2009 / 피에로 페루치 지음 ; 윤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1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