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5.18 광주항쟁의 한가운데 한국 이름으로 불렸던 미국인의 이야기데이비드는 대학을 졸업하고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지만 한 가지는 확실했다. 세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싶다는 것. 미국 청년 데이비드는 평화봉사단으로 1978년, 한국에 처음 도착한다.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적응하고, 한국어 선생님에게 ‘임대운(林大雲)’이라는 한국 이름을 받는다. 그 후로 그는 임대운으로 불리며, 전라남도 영암의 보건소에서 결핵 환자를 돌본다. 1980년 5월 18일, 동료 평화봉사단원의 결혼식에 다녀오는 길에 대운은 버스를 갈아타기 위해 광주로 간다. 터미널은 짙은 최루탄 냄새와 표를 구하려는 사람들로 붐볐다. 영암으로 가는 버스가 없어 광주에 발이 묶인 대운은 동료 평화봉사단원이자 친구인 팀 원버그와 마주친다. 팀이 격앙되어 군인들이 젊은이들을 무자비하게 폭행했다는 믿기 어려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대운은 광주 시내의 분위기를 보며 그 말이 사실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다음날 버스 운영이 재개되어 대운은 영암으로 돌아오지만, 광주로 전화가 끊기고 계엄군의 폭력 강도가 훨씬 높아진다는 소식이 들린다. 팀과 한국인 친구들이 걱정된 대운은 광주로 돌아가 친구들이 안전한지 확인하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직접 보기로 한다. 5월 21일 그가 탄 광주행 버스는 나주에서 멈추고, 아름다운 한국의 5월에 대운은 걸어서 광주로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