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대도의 문, 일심정토 염불수행
제1장. 교상판석
1. 유교와 도교
2. 불교의 교법
3. 교상판석의 결론
4. 불교와 기독교
제2장. 일체경계 본래일심
1.《대승기신론》의 일심
2.《무량수경종요》의 일심
3. 일심에 대한 이해
4. 일심이 삼보다
제3장. 부처님의 부사의한 업용
1.《대승기신론》의 일심, 이문, 삼대
2.《대승기신론소》의 해설
3. 부사의한 업용
4. 타력과 자력
제4장. 부처님의 지혜를 믿는 종교
1. 믿음이 불성이다
2. 총지와 사지
3. 부처님의 지혜를 우러러 믿음
제5장. 대승불교의 신행체계
1. 대승의 신행체계
2. 발보리심
3. 중생을 교화하는 요체
제6장. 수행문의 선택
1. 중생을 교화하고 수행하는 요체
2. 자각의 문, 자비광명에 의지하는 문
3. 지혜로운 신행생활
4. 수행의 세 가지 조건
제7장. 깨달음과 정토문
1.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하신 뜻
2.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큰 깨달음
3. 정정취의 깨달음
4. 깨달음을 성취하기가 어렵다
5. 자비광명의 정토문
제8장. 마음을 정토에 두는 도
1.정토의 뜻
2. 아미타불과 정토
3. 깨달음의 방향전환
4. 유상유념의 도
5. 염불의 뜻
6. 넓은 의미의 염불
제9장. 서방정토, 유심정토, 일심정토
1. 서방정토
2. 유심정토
3. 일심정토
제10장. 부처님의 몸과 정토
1. 부처님의 몸
2. 부처님의 정토
3. 근기에 따라 부처님의 몸을 본다
4. 정정취문의 정토
제11장. 일심정토교의 염불수행
1. 선오후수문
2. 일심과 성소작지에 대한 믿음
3. 발보리심
4. 염불수행의 요체
5. 염불수행의 오념문
제12장. 칭명염불
1. 칭명염불의 근원
2. 칭명염불의 전통
3. 인과동시의 칭명염불
제13장. 십념염불
1. 하배의 염불
2. 하배의 신심과 발심
3. 일념과 십념
4. 십념으로 아미타
제14장. 관상염불
1. 상배와 중배의 염불
2. 신심과 발심
3. 관상염불의 방법
제15장. 일체가 아미타불의 화신
1. 연기의 세계관
2. 다양한 교법과 연기의 세계
3. 정토의 세계관
4. 화신관의 뜻
제16장. 사상의 자유, 삶의 자유
1. 불교의 생명
2. 사상의 자유
3. 삶의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