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자 조은. 그는 2003년에 6 · 25 때부터 시작되는 50년의 ‘기억 여행’을 털어놓은 <침묵으로 지은 집>이란 장편소설을 내놓더니, 2009년에는 1986년 철거 재개발 지역에서 쫓겨난 정금선 할머니 가족을 22년간 추적한 다큐멘터리 [사당동 더하기 22]를 내놓았다. 마침내 그는 1986년에 사당동에서 처음 만난 한 가난한 가족을 25년 동안 따라다닌 이야기를 이 책으로 갈무리했다.
목차
01 두 세상을 오가다 밑으로부터 사회학 하기 한 가족 들여다보기
02 가난 두껍게 읽기 질적 연구 방법의 실험장 사당동 철거 재개발 현장 부동산 중개소에서 연구 현장을 찾다 방 얻고 현장에 들어가기 지역의 특성과 지역 주민의 구성 나는 위험한 현장에는 부재했다 임대 아파트 단지로 가다 방법론적 딜레마 연구자의 이율배반성 참여관찰을 참여관찰하다 ‘개입’과 ‘객관적 관찰’의 경계 연구 현장의 젠더와 계급성 영상으로 사회학적 글쓰기 익명성을 배반하다 재현이라는 숙제
03 산동네 달동네 별동네 1980년대 사당동 풍경: 현장 일지에서 꺼내 온 이들의 삶 ‘사당동’이라는 동네의 형성 주거의 조건과 거주의 공간 주민들의 삶: 생계와 일상 아이들, 남편들, 아버지들 동네의 철거 사당동 사람들: 인생의 조건 해방촌 손녀: “맨날 똑같아요” 건설 십장-파출부 부부: 끝내 이혼 시계 노점상 아줌마집: “아이들이 딱 정상에 올라서면” 묵장사 아줌마집: 여성 가구주와 딸들 일용 잡부-과자 리어카상: “싸움도 가난 때문” 미장원집: “아들 유학 보냈어요”
04 세상의 가난, 가난의 세상 할머니 가족: 삶을 이야기하다 금선 할머니: “밤낮 지지고 볶고” 수일 아저씨: “여자 없어서…” 영주: “꿈은 많았어요” 은주: “산 입에 거미줄 치겠어요?” 덕주: “돌고 돌고 또 돌고” 할머니 가족에 들어온 사람들 은주 씨 남편: “집이 제일 무섭죠” 연변에서 온 아저씨 부인: “다 그런 거지 뭐” 필리핀에서 온 영주 씨 부인: “괜찮아요” “바람을 그리다”: 가난의 앞날 은주 씨네 : “댄스가수 해서…” 영주 씨네: 아들 꿈은 영어 선생
05 가난이 낳은 가난 ‘맨몸’으로 산다는 것 일수·외상·계에서 카드깡·대포차·‘러시앤캐시’로 교회와 생명 보험과 로또 복권에 기대기 가난의 자존심 제품업체 사장: “IMF 때 다 들어먹었어요” 임대 아파트 옆 동에서 만난 사당동 이웃 가난의 두께: 성·사랑·결혼·가족 이들에게 가족 그들의 연애 각본 ‘빈곤 문화’의 조건
책을 끝내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 서울대 교수 5인의 계층 갈등 대해부2014 / 강원택 외 지음 / 21세기북스
특권 중산층 : 한국 중간계층의 분열과 불안 2022 / 지음: 구해근 / 창비
엘리트 세습: 중산층 해체와 엘리트 파멸을 가속하는 능력 위주 사회의 함정2020 / 지은이: 대니얼 마코비츠; 옮긴이: 서정아 / 세종서적
능력주의: 2034년, 평등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엘리트 계급의 세습 이야기2020 / 지음: 마이클 영; 옮김: 유강은 / 이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