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이화 역사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발행연도 - 2011 / 원작: 이이화 ; 글: 박시화 ; 그림: 곽재연 / 파랑새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꿈나무터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94448
-
ISBN
9788961552851
-
형태
13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
-
카테고리분류
어린이
>
어린이학습/교양
>
자연/과학
책소개
파랑새 풍속 여행 시리즈 5권. 이이화 역사 할아버지가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우리나라의 천문학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엮은 책이다. 하늘의 모습을 연구해 해시계와 물시계를 만든 우리 조상들의 놀라운 과학 이야기가 담겨 있다.
목차
첫째 마당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고
해가 뜨는 걸까 지구가 도는 걸까?
둥근 하늘에 해와 달과 별이 움직인다
하늘은 삿갓 모양일까 달걀 모양일까?
하늘과 땅의 모양을 본떠 물건을 만들다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하늘과 땅이 만들어진 이야기
둘째 마당 옛 사람들은 시간을 어떻게 알았을까?
1,300년 전의 해시계와 물시계
스물여덟 번 종을 치면 문 닫아라
닭이 울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자고
불편하구나, 자동 시계를 만들어라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고달픈 관상감의 벼슬아치
셋째 마당 자동으로 종 울리는 물시계
백제와 신라의 항아리 물시계
조선 시대의 자동 물시계
물시계 자격루는 어떻게 움직일까?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십이지와 옛날의 시간
넷째 마당 솥단지 해시계 앙부일구
인류 최초의 시계는 해시계
평평한 해시계
솥단지 모양의 해시계 앙부일구
앙부일구는 왜 솥단지 모양일까?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시계를 잘못 봐보면 벌을 받는다고?
다섯째 마당 우주를 보여 주는 혼천의
해와 달과 별의 움직임
천문 관측 기계 혼천의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 주는 혼천시계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지구가 도는 거라고?
여섯째 마당 농사를 잘 짓게 해 주는 이십사절기
정교한 시계가 필요했던 이유
이십사절기는 양력
동지와 하지가 생기는 원리
절기의 이름과 뜻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가장 추운 날은 동짓날일까?
일곱째 마당 달력은 하늘의 과학 책
정확한 날짜를 아는 것은 너무 어려워
날짜가 우리와 다르니 다시 만들라
일곱 개의 별을 기준으로 한 《칠정산 내편》
요일은 언제 생겼을까?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칠정산 내편》에 담긴 열두 달
여덟째 마당 날씨를 관측하는 기계
무릎이 쑤시니 빨래 걷어라
비의 양을 재는 측우기
강물의 높이를 재는 수표
바람을 관찰하는 풍기죽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날씨와 관련한 우리 속담들
아홉째 마당 하늘을 관찰하는 천문대
하늘의 뜻을 받드는 신성한 곳
단군왕검이 하늘 제사를 지낸 참성단
신라 선덕왕이 만든 첨성대
개성 첨성대와 조선 시대의 관천대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임금님도 놀란 별 박사 할머니
열째 마당 우리 별자리 이야기
고인돌에 새겨진 별자리
하늘 나라 임금님이 사는 자미궁
돌에 새긴 별자리, 천상열차분야지도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해를 지켜 주는 별 삼태성 이야기
열한째 마당 일식과 월식
연오랑과 세오녀 전설
해와 달을 누군가 먹어 버렸다
징과 북을 쳐서 해와 달을 구하라
일식과 월식을 모두 기록하다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해와 달을 삼킨 불개
열두째 마당 상상 속의 하늘 세계
하늘이시여 하늘이시여
고구려의 삼족오는 태양새
달에게 바치는 초사흘 떡
아기를 점지해 주는 삼신할머니 별
불 끄고 듣는 이야기_ 해를 쏜 예와 두꺼비가 된 항아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0 |
30대 | 2 |
40대 | 3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5 |
2022년 | 0 |
2023년 | 1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