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시기 한국의 철학, 종교, 예술, 과학 등 여러 문화요소들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접하게 되는 문제 한 가지가 ‘한국사에서의 중국의 문제’이다. 전통 시기 한국의 사상, 기물, 실행 등 많은 것들이 중국의 것이거나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며, 때로는 중국의 것들과 완전히 같은 모습을 보인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중국 인식의 전개 1장 중화 사상 2장 대명의리 3장 청에 대한 무정적 태도 4장 주자 정통론의 심화 5장 '소중화', '조선중화' 6장 기자, 단군과 고구려, 발해: 고대사의 재인식 7장 조선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자부심 8장 '북학' 9장 청 중심의 질서 수용
제2부 중화 사상의 재조명 10장 문화로서의 중화와 '중화' 관념의 상대화 11장 중화 사상의 폭과 유연함
제3부 구체적 사례들 12장 '주변부' 조선 사인들과 '중심' 중국 사인들 13장 중국을 통한 서양 과학 도입과 '서학중원론' 14장 중국으로부터의 전래: 시간지연, 변형 및 왜곡 15장 조선의 역서와 중국의 역법: '주국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괴물, 조선의 또 다른 풍경: 풍문부터 실록까지 괴물이 만난 조선 2021 / 곽재식 지음 / 위즈덤하우스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2021 / 지음: 오정윤 [외] / 창해
조선을 새롭게 하라 : 권경률의 역사다큐 7인의 재건자들2017 / 지음: 권경률 / 앨피
전란으로 읽는 조선 : 반란과 전쟁, 혁명이 바꾼 조선과 동아시아2016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엮음 / 글항아리
한 손에 잡히는 조선 상식 사전2017 / 지음: 김경민 / 책비
홀로 선 자들의 역사 : 조선의 누정樓亭, 비경에 숨은 이야기를 찾아서 2020 / 지음: 김동완 / 글항아리
왕정의 조건: 담론으로 읽는 조선시대사2021 / 지음: 김백철 / 이학사
중국과 조선, 그리고 중화 : 조선 후기 중국 인식의 전개와 중화 사상의 굴절 2018 / 김영식 지음 / 아카넷
별자리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왕의 운명은 누가 결정하는가2021 / 지음: 김은주 / 시대의창
1만 1천 권의 조선 : 타인의 시선으로 기록한 조선, 그 너머의 이야기 2022 / 지음: 김인숙 / 은행나무
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 사직상소 : 권력을 향한 조선 선비들의 거침없는 직언직설2017 / 지음: 김준태 / 눌민
왕의 공부: 조선 왕은 왜 평생 배움을 놓지 않았을까2020 / 지음: 김준태 / 위즈덤하우스
조선의 위기 대응 노트 : 역사를 바꾼 리더의 선택들 2021 / 지음: 김준태 / 민음사
왕비, 궁궐 담장을 넘다 2019 / 지음: 김진섭 / 지성사
책문 : 시대의 물음에 답하라2005 / 김태완 지음 / 소나무
같이 빌린 책
조선과 중화 : 조선이 꿈꾸고 상상한 세계와 문명2014 / 배우성 지음 / 돌베개
한국무역의 역사2010 / 최광식...[등]지음 / 청아출판사
같은 주제의 책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