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일조선인 문학사'를 위하여 : 소리 없는 목소리의 폴리포니
발행연도 - 2019 / 짓고옮김: 송혜원 / 소명출판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56722
-
ISBN
9791159054303
-
형태
436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일본문학 및 기타 아시아문학
>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책소개
1945년부터 1970년까지의 재일조선인 문학사. 이 책에 등장하는 재일조선인 작가들은 1세대와 2세대 여성, 남이나 북의 국가를 지지하는 사람, 중립파, 구'친일파', 망명자, 밀항자, 수용소에 붙잡힌 사람, 북이나 남의 '조국'으로 이동한 사람 등이다.
목차
머리말
범례
용어해설과 주요 단체 일람
서장 문학사를 쓰다
1. ‘재일조선인 문학사’의 부재
2. 일본문학, 일본어 문학, 아니면 ……
3. 클리셰를 되묻다
4. 문학사의 구축
1장 원류로서의 ‘여성문학사’- 문해·글쓰기·문학
1. 왜 여성들로부터 시작하는 것인가
2. 글의 획득을 향한 기나긴 길
3. 연필을 쥐며
4. 이야기 계보를 더듬어 가다
5. 쓰인 것과 쓰이지 않았던 것
2장 문학사의 주류 - 재일 민족문학운동의 주된 흐름
1. 탈식민지화를 가로막는 장벽
2. 조국분단의 충격
3. ‘공화국’문학화로 오로지 달리다
4. 15년 후에 꽃핀 조선(어)문학
5. 유일사상체계 시동의 파문
3장 몇 줄기의 흐름 - 대안적인 문학 행위
1. 식민지작가의 후일담
2. ‘해방’ 직후 문화 세력도
3. 신생 한국을 둘러싸고 꿈틀거리는 저의
4. 4·19혁명의 영향-공진과 반작용
5. 군사 독재 체제의 강화, 좌초하는 문학
6. 조직에서 멀리 떨어져
4장 바다를 건넌 문학사 - 월경과 이산을 품고
1. 식민지 이후도 끊어지지 않는 사람들의 이동
2. ‘불법’ 입국자와의 엷은 경계선
3. 조선전쟁이 초래한 것
4. 남에서 온 망명자
5. 감옥 속에서
6. 표류하는 망명작가-김시종, 김재남, 윤학준
7. 1959년, 북으로의 대이동
8. 일본과 한국 간의 거리
9. 종착지 없는 항로
5장 재일조선인문학, 혹은 언어가 대결하는 장
1. 일본어와 조선어 사이에서
2. 번역에 대하여
3. 언어의 “주박”은 풀릴까
작가 경력 일람
초출 일람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