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5
서론: 불법청산의 필요성 21
1. 북한체제의 불법성 21
2. 체제불법과 청산방안 26
3. 법적 청산과 법적 쟁점 33
4. 동서독과 남북한의 비교 37
5. 불법청산과 법치국가원리 40
6. 개념정의 42
1부 불법청산의 이론적 기초 45
01/법치국가와 체제불법 49
1. 법치국가와 비법치국가 49
2. 체제불법 60
02/체제불법의 청산 65
1. 서설 65
2. 법률적 불법 67
3. 불법심사의 기준 80
4. 불법청산과 법가치의 충돌문제 85
5. 불법청산의 유형 104
2부 통일독일의 불법청산 107
01/불법청산의 개요 111
1. 동독체제의 불법성 111
2. 동독체제의 불법유형 115
3. 동독체제의 청산배경 119
4. 불법청산의 과제 122
02/법치국가적 불법청산 125
1. 기본원칙 125
2. 법치국가원리에 따른 이유 128
3. 불법청산의 목표 136
4. 다른 불법청산과의 차이 141
03/내독기본관계와 불법청산 149
1. 분단국의 불법청산 149
2. 동서독 기본관계 152
3. 동독주민의 법적 지위 159
4. 독일의 존속 160
04/가해자 처벌 163
1. 준비와 감시 163
2. 시작과 기초 177
3. 이론과 실무상의 쟁점 182
4. 준거법 결정 195
5. 정당화사유의 제한 209
6. 공소시효 문제 234
7. 기타의 쟁점들 265
8. 성과 및 평가 286
05/피해자 구제 289
1. 서설 289
2. 형사복권 291
3. 행정복권 317
4. 직업복권 329
06/몰수재산 처리 339
1. 서설 339
2. 문제해결의 기초 342
3. 재산권 침해의 회복 348
4. 헌법적 문제점 373
07/슈타지문서의 처리 401
1. 서설 401
2. 국가공안부의 정보수집 404
3. 슈타지문서의 관리 필요성 407
4. 국가공안부문서관리청 413
3부 통일한국의 불법청산 419
01/북한의 체제불법 423
1. 북한체제의 특성 423
2. 체제불법의 태양 432
02/불법청산의 법적 토대 445
1. 서설 445
2. 인간의 존엄성과 법치국가원리 447
3. 북한의 법적 지위 449
4. 북한주민의 법적 지위 463
03/가해자 처벌 467
1. 서설 467
2. 죄형법정주의 469
3. 준거법 문제 476
4. 정당화사유 문제 490
5. 공소시효 문제 501
6. 기타의 헌법적 문제 513
7. 북한불법 감시기구 설립 522
04/피해자의 구제 525
1. 서설 525
2. 형사복권 529
3. 행정복권 543
4. 직업복권법 547
5. 상호보완 549
05/몰수토지 처리 551
1. 북한의 토지개혁 551
2. 몰수토지의 처리와 법치국가원리 567
3. 몰수토지 처리방안 585
4. 통일한국의 처리방안에 대한 사견 597
06/기밀문서의 관리 601
결론: 평화적 불법청산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