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시작하며
제1부 인권의 진보와 유엔
제1장 인권개념의 발전
1. 인권의 기본개념과 내용의 진화
2. 인권의 국제화
3. 보편성에 대한 도전
4. 보편성에 대한 지향
제2장 초국적 인권운동과 유엔에서의 NGO
1. 초국적 사회운동과 인권운동의 세계화
2. 유엔을 통한 NGO 및 국제NGO의 활동
3. NGO 및 국제NGO의 과제
4. 한국의 인권운동과 NGO
5. 전망
제3장 유엔의 인권 메커니즘
1. 유엔의 인권 메커니즘
2. 헌장기구
3. 조약기구
4. 유엔 프로그램 및 전문기구, 국제노동기구
5. NGO의 역할
제2부 유엔에서 이뤄진 인권논의
제4장 초국적기업의 인권규범
1. 기업의 인권 존중에 문제를 제기한 배경
2. 1970~1990년대 초국적기업과 사회적 책임의 공론화: 기업의 자율 규제
3. 2003년 인권소위원회의 인권규범: 자발주의에서 법적 규제로
4. 유엔 사무총장 특별대표의 프레임워크와 이행원칙: 다시 자발주의로
5. 이행원칙 이후의 논의
6. 전망
제5장 식량권과 농민권리선언
1. 기본적 인권으로서의 식량권 개념 확립
2. 식량권의 실현: 식량농업기구를 중심으로
3. 2000년대 이후 인권이사회 및 자문위원회의 논의
4. 농민권리선언 제정을 향하여
5. NGO의 활동
6. 농민권리선언 채택
제6장 평화권 논의의 구조와 전망
1. 인권의 조건으로서의 평화에서 기본적 인권으로서의 평화권으로
2. 유엔 인권이사회의 설립과 평화권 논의의 재점화
3. 인권이사회와 자문위원회의 논의: 평화권의 정립
4. 2016년 평화권선언
5. NGO의 활동
6. 한국의 평화권 논의와 운동
7. 전망
제7장 보편적 노인인권 의제
1. 고령화와 노인인권의 중요성
2. 국제인권법으로 본 노인인권
3. 국제사회에서 문제가 제기된 노인인권: 1980~2000년대
4. 노인인권규약 제정 논의의 본격화: 2010년 이후
5. 노인문제에 대한 인권적 접근
6. 전망
제8장 카스트 차별
1. 불가촉천민 문제의 특성
2. 불가촉천민 차별을 금지하는 제도 도입
3. 지역사회의 시민운동
4. 국제NGO 설립과 세계사회의 문제 제기
5. 유엔 인권소위원회
6. 전망
제9장 일본군 위안부 문제
1.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특성
2.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초국적 사회운동화
3. 유엔에서의 위안부 문제 제기
4. 국제노동기구 제소
5. 일본, 한국, 미국 정부의 태도 변화
6. 국제사회의 새로운 참여
7. 전망
보론 인권사회론
1. 인권 연구의 학제적 성격과 인권사회학
2. 인권사회발전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