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부 영남의 3·1운동
제1장 대구 지역의 한말 일제 초기 사회변동과 3·1운동 / 이윤갑
1. 응축된 독립의지가 폭발한 3·1운동
2. 1910년대의 식민지 지배와 대구사회의 변동
3. 한말 일제 초기 대구 지역의 민족운동
4. 대구 3·1운동의 전개
5. 대구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제2장 안동 지역 3·1운동의 전개 양상과 특징 / 심상훈
1. 3·1운동의 배경과 전국적인 확산
2. 경북 지역 3·1운동의 전개 양상과 특징
3. 안동 지역의 3·1운동
4. 안동 3·1운동 주도세력의 성격과 만세운동의 특징
5. 3·1운동 이후 안동 지역 독립운동의 변화
제3장 3·1운동기 영남 지역 종교계의 동향 / 김순석
1. 3·1운동에서 종교계의 역할
2. 천도교계의 영남 지역 3·1운동
3. 기독교계의 영남 지역 3·1운동
4. 불교계의 영남 지역 3·1운동
5. 종교계의 3·1운동 참여의 의미
제4장 파리장서운동의 전개와 영남 지역의 숨은 협력자들 / 서동일
1. 파리장서운동의 ‘숨은 그림’ 찾기
2. 영남 지역 협력자의 구성과 특징
3. 영남 지역 협력자의 시기별 역할
4. 유교독립운동의 연속성과 단절성
5. 앞으로의 연구과제
제2부 만주의 꿈
제5장 20세기 초 영남 유림의 만주 이주와 초기 정착과정 / 이은영
1. 시대 상황
2. 이주 원인과 이주지 선택 이유
3. 이주 규모 및 이주 경로
4. 이주 초기 정착과정
5. 독립운동의 면모
6. 의의
제6장 『요좌기행』을 통해 본 장석영의 만주 체험과 그 의의 / 정우락
1. 근대전환기와 장석영
2. 만주 여행의 동인과 노정
3. 『요좌기행』에 나타난 만주 체험
4. 만주 체험의 의의
5. 다시 만주로
제7장 1910년대 만주 망명 영남 지사들의 문학과 그 성격 / 김윤규
1. 논의할 문제
2. 만주 망명문학의 배경
3. 영남인 만주 망명문학의 성격
4. 만주 망명 문학의 문학사적 의미
5. 정리와 과제
참고문헌